android tv (과정)
tv 보기
(설치과정을 내가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기록한 것이다 남에게 도움이 되려고 쓰지 않았다)
1. uhf 안테나 설치
이 지역에선 ebs1, ebs2 외엔 잘 나오지 않는다 sbs는 전혀 나오지 않고 안테나 방향이 잘 맞고 날씨가 맞으면 mbc, kbs1, kbs2가 나오긴 하지만 포기 상태다 dtv로 검색하면 중계탑 위치가 있는데 그 방향으로 하거나 안테나를 그냥 돌려보아야 한다 감도 수치는 kbs가 높게 나오지만 화면이 깨지고 수치가 좀 낮은 ebs1, ebs2는 화면이 안 깨진다 화면 상태는 제일 나쁘다 화질은 위성수신기보다는 낫다
월 사용료는 없다 (전기사용료에 같이 나오는 수신료는 여기거 논외로 한다)
2. 위성수신기
수신기는 보통 15 만 원 정도 한다 uhf 안테나 선 연결 단자가 있거나 이 연결 단자를 다시 다른 tv로 연결해주는 단자가 따로 있기도 하다 그러니까 uhf 신호를 받아 셋탑박스에 공급하고 다시 외부로 또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단자가 입력, 출력 두 곳이 있는 것도 있다 채널은 30 개 정도라고 하지만 약 10 개 정도 나온다 ebs는 나오지 않았고 어머니 볼 만 한 게 ktv 하나 뿐이었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skylife에서 달아주는 hd 안테나 정도면 볼 수 있다 중부 지방보다는 남부 지방이 더 유리할 것이다 수직편파, 수평편파 할 것 없이 skylife 용 lnb를 쓰고 안테나가 두 개이니 lnb 하나는 바로 걸고 다른 하나는 약 90도 돌려서 사용하면 된다 접시 안테나는 클 수록 좋은데 skylife 안테나가 아니면 녹이 많이 슬어 비 맞지 않게 해야 한다 skylife 접시 안테나도 접시는 녹이 잘 안 슬지만 고정용 부속품은 녹이 잘 슨다
위성신호를 합쳐서 셋탑박스로 보내는 분배기처럼 생긴 것이 있다 나는 입력 단자가 네 개 있는 것을 샀다 출력 단자는 두 방에서 보려면 두 개 있는 것이 필요하다 안테나는 직경 1 미터가 넘는 것은 수 십 만원 씩 한다 남쪽 방향을 보고 수평에서 45도 위 방향을 보게 한다 접시에 반사되는 신호를 모으는 lnb 위치도 중요하다 usb를 꼽아 영상을 볼 수도 있는데 사용할 수 있는 영상이나 그래픽 형태에는 제한이 있어 셋탑박스에서 지원하지 않으면 볼 수 없다 안테나는 극지방으로 가면 방패 자세가 되고 적도지방 쪽으로 가면 세수대 자세가 된다
월 사용료는 없다 화면 상태는 uhf보다는 낫지만 화질은 셋탑 박스 해상도에 따라 다르다 아직까지는 1080P 정도다
3. 유선 tv
올레 인텨넷을 설치하면 유선 tv를 볼 수 있다 화질은 좋지만 매달 사용료를 내야 한다 위약금 제하고 한 달에 약 3 만 원 정도 낸다 기가인터넷이라고 하는데 100 번에 전화해서 속도 느리다고 하면 기사가 방문하고 그 뒤로 한 사흘 간만 속도 800 대가 나오고 그 뒤로 속도 200 정도 나온다 매일 시간 별로 스캔하다 지쳐서 포기했다
이 보다 싼 것이 skylife tv이다 100 메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유선 tv를 볼 수 있다 tv는 접시 안테나를 달아 본다고 한다 사용료는 인터넷과 tv를 합해 만 원 이하라고 한다 언젠가 skylife 인텨넷 + tv를 본 적이 있는데 안테나를 남쪽 지붕 끝에 설치해주고 갔는데 눈이 와서 쌓이면 방송을 볼 수 없다 전화를 해도 사흘간 받지도 않아 서비스 사용을 않고 영구히 사용 않기로 마음 먹었다 북쪽 지붕 끝에 설치하면 눈이 쌓일 이유가 없는데 많은 곳에 남쪽 끝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을 아끼려고 그런 것으로 짐작했다
인터넷 연결은 요샌 보통 광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커넥터를 낮은 곳에 두어 비를 맞게해두면 사용자가 가서 만져줘야 인터넷이 다시 되는 경우도 있다
화질은 제일 낫다
4. 안드로이드 tv
지마켓, 옥션에서 제품을 검색하는데 자꾸 '안드로이드 tv'f라는 게 눈에 들어온다 알아보았더니 셋탑박스이고 인터넷 선에 연결해야 한다 이동전화기에서 google play로 '무료 tv 시청'으로 검색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수 십 개 채널을 볼 수 있다 전화기로 보면 화질이 괜찮으나 모니터로 보면 화질은 떨어진다
중국제 evpad 같은 셋탑박스가 있다는데 서비스가 언제 끊길지 모른다
다른 안드로이드 셋탑박스를 찾아봤는데 너무나 많다 그래서 필요한 단자를 정리해보니, 만일을 대비해 공중파 신호를 직접 받아 볼 수 있게 uhf 안테나 입출력 단자, usb 2.0 3.0 단자 네 개 이상, 리모컨, 해상도, 무료 채널, 블루투스 키보드에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 기능, 무선 마우스.. 그러면 셋탑박스 값이 10 만 원 이상이 되어간다
그러다 문득, pc와 연결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전에 pc에서 안드로이드 os 설치를 해봤는데 실패했다 chrome, remix os, android x86
primeos_mainline_0.4.5.iso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windows 10을 설치하기로 했다 구형 pc라 속도라도 빠르게 ssd에 설치하고 보조 하드디스크에 가상메머리를 설치하도록 한다
windows 10에서는 다음 파일을 받으려면 iso를 받기 위한 실행 파일을 받아 그 것으로 파일을 받는데 ubuntu에서는 바로 받는다 이상하게 ssd에 설치하기 전에는 받아지지 않았다
Win10_20H2_v2_Korean_x64.iso
자주 사용하는 windows 10 시스템에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설치되어 있고 ubuntu 파티션을 windows 10에서 읽고 쓰려면 ext2fsd를 설치하는데 이상하게 읽기가 되지 않는다 또 iso 파일을 rufus로 굽기도 안 된다 ultraiso에서는 굽기가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한다 그래서 다른 시스템의 windows 10에서 ultraiso로 iso 파일을 usb에 굽기 하려고 windows 10.iso 파일을 받으려는데 하드디스크 C: 드라이브가 16 기가 여유 공간이 없다고 다운로드가 안 된다 큰 파일 몇 개를 앱에서 지우고 가상메머리까지 지우니 받아졌다 그런데 전에 다른 데서 받을 땐 파일 받기가 금방 끝났는데 이번에 이상하게 몇 시간 씩 걸린다 windows 10 32비트, windows 10 64비트, windows 10 둘 다 중 먼저 '둘 다'를 받기 시작했는데 80%대에서 몇 시간 씩 걸린다 아마 5 시간은 걸린 것 같다 나머지는 그보다는 짧지만 몇 시간 씩 걸렸다 그런데 파일이 늦게 들어오니 파일을 usb로 굽기가 될 것만 같았다 rufus로 파일 굽기에 실패한 시스템은 windows 10에서도 ext4의 ubunu 파티션을 읽고쓰기가 가능한 기능이 있다고 해서 뭐가 뭔지는 모르지만 작업을 진행했다 그 뒤로 windows 10에서 '설정' 창이 뜨지를 않는다 보통 이런 경우는 windows 시리얼 넘버가 인증이 안 된 경우인데 저 시스템은 인증이 된 경우이다 혹시 몰라서 Paragon ExtFS for Windows를 설치했다 이 것으로 windows 10에서 ubuntu의 ext4 파티션에 파일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다 그런데 이 뒤로 windows를 켰다끄기만 하면 windows ntfs 파일이 ubuntu에서 읽고 쓰기가 안 되게 '읽기 전용'이 자동 설정되었는데 읽기 전용이 풀려졌다
ssd 상호가 다른 것 세 개에 windows 10을 설치하려는데 설치가 안 된다 그냥 파란 화면 뜨고 정지 상태로 있다가 pc가 꺼져버린다 windows 10에서 디스크 관리에서 보니까 세 ssd 모두 '데이터 파티션, gpt'로 되어있다 windows 10 도스창 같은 곳에서
diskpart
select disk 0
convert mbr
로 gpt를 mbr로 바꿨다 그리고 '주파티션'이 된 것을 확인하고 거기에 새 windows를 설치했다
windows 10을 설치할 때, 다른 windows 에서 디스크 format을 했어도 windows를 설치하려 파티션에 추가로 두 개의 파티션이 필요하므로 os 설치 과정 중 파티션을 삭제했다 다시 만들어야, windows 10이 설치가 된다 windows를 주로 사용하지 않으면 이런 기억들을 다시 불러와야 작업이 된다
BlueStacks 설치
이상한 광고가 마구 설치된다는 글도 있었지만 설치했다 google play에서 '무료 tv 시청'으로 검색하니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있어 설치하고 tv를 볼 수 있었다 화질은 좋지 않고 채널 검색이 아렵게 되어있고 올레 tv 기본 채널보다 적다
이 것은 인터넷 선이 연결 되어있고 pc가 있는 경우의 tv 보는 방법이다 uhf 연결이 시원치 않고 위성수신기보다는 채널이 많다 화질은 좀 떨어지지만 무료이다 이 pc의 기능은 둘이다 tv에서 뭐 하는지 보는 것과 지마켓이나 옥션, 일레븐에서 주문 상품 배송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다 가끔 네이버 날씨를 확인하고 다음 뉴스를 볼 수도 있다
어떤 '인증된 windows 10' 시스템에서는 잘 되던 ext2fsd가 작동하지 않고 rufus로 파일 굽기가 안 되었다 세 개의 usb에 파일 굽기를 하여 windows 10, ubuntu, mint, opensuse, centos, fedora, mx linux를 구워도 구워졌는지 모르겠지만 굽기 에러가 나지 않아 설치해보면 설치가 안 되었다 Universal USB Installer라는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os를 하나의 usb에 넣어 os를 설치해주는 것인데 이 것으로도 os 설치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system에서 windows 10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지, 아니면 usb가 세 개 다 문제인지 알 수 없었다 많은 시간을 허비 했다
다른 시스템에서 ssd를 연결하고 windows 10 64 home.iso 버젼을 설치한 뒤 그 ssd를 다른 시스템에 연결하고 부팅하니 부팅이 안 되었다 전에도 그랬던 것 같다 usb로 다시 설치했다
disk에 새 os 설치 작업 전 format 할 때, avast나 알약 같은 게 설치 되어있으면 안 되는 것도 같으니 둘 다 삭제하고 작업하였다 느린 시스템에 불루스텍스를 설치하니 너무 느리다 메머리 4 기가라 웹 브라우저 하나만 켜놔도 불루스텍스가 작업 진행이 안 된다 google play에서 로그인은 시간만 몇 십 분씩 걸리고 아예 안 된다 느린 시스템에서 불루스텍스를 포기하고 그냥 ubuntu만 설치해서 web browser로 지마켓과 옥션의 배송 조회만 해야 하겠다
windows 10을 삭제하고 windows 10에서 ultraiso로 구운 ubuntu가 계속 grub이 없다고 설치가 되지 않는다 ubuntu에서 gparted로 usb를 fat32로 format하고 ubuntu에서 mint.iso 파일을 받아 '시동디스크만들기' 프로그램으로 mint를 구워 구형 시스템의 ssd에 mint를 설치하니 설치가 되었다 ubuntu에서 파일 굽기 할 때 multiwriter라는 프로그램을 썼는데 너무 느려서 시동디스크 만들기라는 프로그램으로 빠른 속도로 만들 수 있었다 아마 usb는 사용 전에 format (fat32 & foamat)을 해야 설치가 되는 것 같다
불루스택스를 설치한 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는다 다른 작업을 하지 않았으니 그 프로그램에 뭔가 이상이 있는 것 같다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고 꼭 tv를 봐야 한다면 인터넷 연결한 안드로이드 tv 셋탑박스 밖에 다른 방법은 없는 것 같다
5. 기타
dmb
구글, 넷플릭스 인증받은 안드로이드 TV 셋톱박스 호매틱스 BOX Q
https://www.youtube.com/watch?v=z8bQhP986-I&t=1s
셋탑박스와 tv 호환 여부
......
통합 LNB
접시 안테나가 대단히 크지 않다면 통합 LNB는 안 쓰는 게 낫다 촛점 잡기가 너무 힘들고 촛점이 맞았다고 해도 수신 감도가 떨어진다 위성 두 개로부터 신호를 받으니 두 개의 접시 안테나가 필요하고 두 개의 LNB가 필요하다 KBS보다 MBC, SBS가 수신 감도가 낮으므로 MBC와 SBS로 채널을 고정하고 촛점을 잡아야 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