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증발
이사 왔더니 석유통에 등유가 가득 차 있었다
세 드럼인 것 같았고 나도 이사 올 때 석유를 많이 가져왔다
화목으로 난방을 바꾼 뒤에 석유를 쓸 일이 없이 잊고 있었다
말통이라 그러나? 플라스틱 용기 여럿에 담아뒀는데 세 통에서 석유가 없어지고 있었다
한 통은 거의 바닥, 다른 통은 중간, 나머지 통은 많이 줄어있다
뚜껑이 그런지 어디서 새는지 모르겠다
석유통에 철사를 넣어 확인하니 반 정도 없어졌다
한 드럼에 17 만원이라면 약 25 만 원 어치가 사라졌다
뚜껑 틈으로 증발할 수도 있고, 통에서 흐를 수도 있고 밸브가 완전히 잠기지 않을 수도 있고, 고무 호스에서 증발할 수도 있겠다
앞으론 통에 담아 한 달 쓸 만큼만 사다 쓰려고 한다
전에 행주대교 살 때, 주인집 할아버지와 사이가 좋았다
어느 날 딸 가족이 그 집으로 들어오면서부터 그 집 사위가 그 집 석유통에 금을 긋기 시작했다
내 석유통엔 석유가 거의 없다는 게 수상했던 모양이다
그 집에 쌍둥이 아들 둘, 할머니, 사위, 딸이 이사 왔고 원래 혼자 살던 할아버지까지 나를 보는 눈이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나는 언제 이사 갈지 모르므로 항상 퇴근 때 석유를 사다 썼다 한 이틀이면 다 쓴다
그 사람들 석유도 아들이 김포공항 근처에서 석유집을 하므로 그냥 갖다쓴다고 했는데 눈치가 보였는지 나를 공동의 적으로 만들고 회의를 많이 했던 모양이다
어느 날 생각나서 로드뷰로 그 집을 찾아보니 없어졌고 공터만 크게 생겼다
행주대교 집 근처에 있는 차도 못 다니는 계단 골목에 무슨 '학교~'인가 올드 스쿨인가 하는 카페 집에 갔었는데 무슨 높은 양반만 오는 곳이라고 해서 다시는 그 집에 안 갔다 파주에도 식당이 새로 생겼는데 여주인이 나오더니 거긴 또 넥타이 맨 사람만 온다고 해서 다시 못 갔다 거긴 공장 근로자들만 가는 식당이다
파주에서 문산 쪽으로 가는 곳에 있던 2층짜리 식당이었는데, 파주도 변화가 많아 찾을 수 없었다
영태리에 살 때는동네 중국집에서 탕수육을 자주 시켜먹었는데, 나무처럼 씹히지 않았다 이사오고 나서 그게 남은 것을 합해서 가져온다는 것을 알았다 한 동네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것을 음식이라고 돈을 받아갔을까?
이런 고쳐지지도 못할 버릇 없는 이상스런 야바위 세상을 어떻게 이해시킬까?
이 글을 올리고 몇 년이 지난 뒤에, 보일러 연료관 교체할 때, 흘러나온 약간의 석유를 받아 뚜껑 없는 그릇에 받아 몇 달을 두었는데, 증발이 많이 되지 않았다
세 드럼인 것 같았고 나도 이사 올 때 석유를 많이 가져왔다
화목으로 난방을 바꾼 뒤에 석유를 쓸 일이 없이 잊고 있었다
말통이라 그러나? 플라스틱 용기 여럿에 담아뒀는데 세 통에서 석유가 없어지고 있었다
한 통은 거의 바닥, 다른 통은 중간, 나머지 통은 많이 줄어있다
뚜껑이 그런지 어디서 새는지 모르겠다
석유통에 철사를 넣어 확인하니 반 정도 없어졌다
한 드럼에 17 만원이라면 약 25 만 원 어치가 사라졌다
뚜껑 틈으로 증발할 수도 있고, 통에서 흐를 수도 있고 밸브가 완전히 잠기지 않을 수도 있고, 고무 호스에서 증발할 수도 있겠다
앞으론 통에 담아 한 달 쓸 만큼만 사다 쓰려고 한다
전에 행주대교 살 때, 주인집 할아버지와 사이가 좋았다
어느 날 딸 가족이 그 집으로 들어오면서부터 그 집 사위가 그 집 석유통에 금을 긋기 시작했다
내 석유통엔 석유가 거의 없다는 게 수상했던 모양이다
그 집에 쌍둥이 아들 둘, 할머니, 사위, 딸이 이사 왔고 원래 혼자 살던 할아버지까지 나를 보는 눈이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나는 언제 이사 갈지 모르므로 항상 퇴근 때 석유를 사다 썼다 한 이틀이면 다 쓴다
그 사람들 석유도 아들이 김포공항 근처에서 석유집을 하므로 그냥 갖다쓴다고 했는데 눈치가 보였는지 나를 공동의 적으로 만들고 회의를 많이 했던 모양이다
어느 날 생각나서 로드뷰로 그 집을 찾아보니 없어졌고 공터만 크게 생겼다
행주대교 집 근처에 있는 차도 못 다니는 계단 골목에 무슨 '학교~'인가 올드 스쿨인가 하는 카페 집에 갔었는데 무슨 높은 양반만 오는 곳이라고 해서 다시는 그 집에 안 갔다 파주에도 식당이 새로 생겼는데 여주인이 나오더니 거긴 또 넥타이 맨 사람만 온다고 해서 다시 못 갔다 거긴 공장 근로자들만 가는 식당이다
파주에서 문산 쪽으로 가는 곳에 있던 2층짜리 식당이었는데, 파주도 변화가 많아 찾을 수 없었다
영태리에 살 때는동네 중국집에서 탕수육을 자주 시켜먹었는데, 나무처럼 씹히지 않았다 이사오고 나서 그게 남은 것을 합해서 가져온다는 것을 알았다 한 동네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것을 음식이라고 돈을 받아갔을까?
이런 고쳐지지도 못할 버릇 없는 이상스런 야바위 세상을 어떻게 이해시킬까?
이 글을 올리고 몇 년이 지난 뒤에, 보일러 연료관 교체할 때, 흘러나온 약간의 석유를 받아 뚜껑 없는 그릇에 받아 몇 달을 두었는데, 증발이 많이 되지 않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