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만지기 (부팅 설치가 안 되는 usb 살리기, windows 10 update 실패)
ecs인가 하는 mainboard에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겼다
다음은 한 대의 pc에서 일어난 것이다
1. usb로 os 설치가 안 된다
2. 전원 버튼을 눌러도 pc가 켜지지 않는다
3. 앞 오디오 연결 부분에 잭을 꼽아야 소리가 난다
4. 사운드 카드 잡기가 어렵다
5. mainboard 상의 그래픽 카드 단자가 있는데 거기에 연결하면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6. 다른 pc에서 windows 10과 ubuntu 18을 설치한 디스크를 삽입해서 부팅하면 windows 10만 부팅되고 다른 것은 검은 화면만 나온다
7. 전원 스위치로 전원이 켜지지 않으니 키보드 부팅 설정은 했는데 키보드, 마우스 부팅이 안 된다
8. usb는 어떤 것은 되고 어떤 것은 안 된다
9. sata 단자가 넷 중 둘이 cmos에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어떻게 하면 다시 나타난다
2. case의 전원 스위치 불량 - 스위치 기판 뒤에서 합선시키면 전원이 연결 된다
3. case의 audio 선 불량 - mainboard에서 case에 달려있는 audio 케이블을 뽑으면 소리가 난다
4. 3의 상태를 파악하지 못 하고 오디오 설정을 하니 windows 10에서 오디오 테스트 창에 해당 sound가 나오지를 않는다 ubuntu에서는 아예 설정도 할 수 없다
7. usb 대기 전력 mode가 두 곳 있는데 1-2, 2-3 접점으로 해도 안 되고 cmos setup에서 설정을 바꿔도 안 된다
컴퓨터 USB로 부팅이 안될 때
https://www.google.co.jp/search?source=hp&ei=XuEnXd7VBcam8AXYl534DA&q=os%EB%A1%9C+usb+%EC%84%A4%EC%B9%98%EA%B0%80+%EC%95%88+%EB%90%A0%EB%95%8C&oq=os%EB%A1%9C+usb+%EC%84%A4%EC%B9%98%EA%B0%80+%EC%95%88+&gs_l=psy-ab.1.1.33i160l2.6328.16823..21036...12.0..1.136.2676.0j23......0....1..gws-wiz.....0..0j0i19j0i10i19j33i21.3Kn4gZNDTT0
cmost setup에서
security - secure boot option - disable
main - boot features - csm features - yes
legacy boot - disabled
(나의 경우는 advanced - usb functions - legacy usb support - disabled로 했더니 usb가 나타나지 않았다)함
컴퓨터가 부팅 USB를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바이오스의 Fast BIOS
https://comterman.tistory.com/2003
fast bio mode - off
usb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 on으로 하면 usb를 찾지 않고 넘어간다고 함 그래서 usb를 인식하지 못함
usb 메모리가 부팅이 안 될 때
https://nets94.tistory.com/50
cmd (windows powershell - 관리자형으로 하면 문자가 작게 나와 안 보일 수 있다)
diskpart.exe
list disk
selct disk
clean
create partition primary
active
format fs=ntfs quick
assign
exit
이렇게 하니, usb가 정상적으로 설치 과정에 들어갔다 설치하려고 했던 게 mint였는데 다시 ubuntu로 설치해야 하겠다 mainboard 문제로 usb 설치가 안 되는 줄로만 알았는데 usb 문제라는 것은 처음 알게 되었다 이 usb가 처음부터 os 설치가 안 되었던 것이 아니다 잘 되다 갑자기 안 되니 system을 의심할 수 밖에..
rufus가 안 되나하는 생각에 ultraiso도 해봤지만 안 되었다
universal usb installer가 먼저 하다 실패한 프로그램 같았다 가운데 linux 이름이 나오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름 기억이 안 나서 다시 보니 yumi였다)
ubuntu 18은 19보다 안정적이고 mint보다는 훨씬 안정적이다 mint 때는 뭘 하나 잘 못 손대면 부팅이 도스 같은 검은색 문자로만 나온다 opensuse도 안정적이긴 한데 오디오가 지직거리며 나온다 ubuntu 18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으면 몇 일 뒤에 19로 업그레이드 할 거냐고 물어온다 무심코 19를 설치해서 후회하다 18을 다시 설치해보니 19에 없는 게 많아 불편했다 화면 해상도 설정이 잘 되서 ubuntu를 설치하려고 한다 21:9 화면 같은 것은 windows 10에 있지도 않다 geforce 같으면 이제 찾아가서 드라이버를 받을 수 있게 되긴 하였지만..
시작-실행-cmd
도스창에서
> diskpart
누르면 diskpart 모드로 들어 간다.
list disk
select disk '선택할 스토리지번호'
출처: https://nets94.tistory.com/50 [마테우스]
ubuntu 19를 받으면서 '로봇이 아닙니다'에 계속 체크를 해줘야 한다 파일이 덜 받아져서 왜 그러나 했더니 중간에 또 나온다
usb로 부팅이 안 되면 다음 이유로 혼동이 생긴다
1. usb 접촉부 상태 불량 (mainboard나 전면 연장된 usb 소켓)
2. 처음부터 usb 부팅이 안 되는 것도 아니고 몇 초 동안 설치화면이 나오다가 먹통이 된다
3. usb 수명이 다 된 건 아닌가?
usb로 os 설치가 잘 되던 게 왜 안 될까를 생각해보니, fat32 file system 자체가 갑자기 전원이 차단되면 (pc 가동 중에 갑자기 usb를 뺀다든 지 하여) 정보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다
윈도우 10] 업그레이드 멈춤 현상 해결 방법
https://aner.tistory.com/151
위의 것으론 안 되어 다음 것으로 해본다
윈도우10 업데이트 확인중 무한로딩 해결 방법 - 익스트림 매뉴얼
https://extrememanual.net/6073
위의 두 방법으로도 안 되어 수동으로 해본다
윈도우10 업데이트 도중 멈춰서 진행이 안될 때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
https://mainia.tistory.com/5505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업데이트가 실패했다고 나오는 경우 파일명으로 간단하게 나오지 않고 날짜로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위의 방법도 실패, 그래서 '업데이트 설치 제거'를 해본다
그래서 다시
윈도우10 업데이트 오류 실패 조치방법 - 대디의 IT공방 - 티스토리
https://appadal.tistory.com/804
서비스 창에서 windows update 정지 시키고, windows 아래의 해당 폴더 삭제 (windows\softwaredistibution)하고 오래 기다려 update 하니 3%에서 정지했던 게 5%로 올라가고 있는 중
지금까지 windows 10 새로 설치보다 오래 걸리고 있다 update %가 늘지 않고 고정된 상태라면? 새로 설치..
생각해보니, 업데이트 오류는 처음 경험한다 이유는 일 년 넘게 사용하지 않은 pc에서 일어나는 것 같다 특히 download 폴더는 blocker로 삭제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고 수동으로 파일을 받으려 해도 그 파일도 없다고 나오거나 받아지지도 않았다 작업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세 개의 프로그램도 한참 있다가 보면 중단이 안 되어있었다 통째로 다시 설치하는 방법이 좋긴한데, 설정 값이 바뀌는 게 뭣보다 귀찮다 왜 굳이 windows update 관련 폴더를 긴 시간 삭제하려고 했던 지는 그 설정값 때문이었던 것 같다
다음엔 설정값을 유지하며 iso 파일을 다시 받아 설치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update가 안 되면 이 방법을 쓰는 게 빠를 것 같다
정상적인 windows 10 update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이 비정상적인 update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다가도 되기만 하면 되지만, 그 것도 쉽지 않다
윈도우 10 업데이트 실패 시 최종 해결책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1657980
'구글 검색해 보면 여러가지 해결책들이 보이는데 저한테는 아무런 도움도 안되었습니다.
~
결국 전 재설치를 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건 윈도우 10은 사용자 설정을 남겨둔채로 OS만 재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죠.
USB 스틱에 윈도우 미디어 크리에이션 도구를 이용해서 이미지 다운받고 재부팅하지 마시고, 윈도우 상태에서 설치하시면 기본값이 개인 설정을 유지한채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서비스(로컬)에서 windows update 중지하고 c:\windows\softwaredisribution 폴더를 삭제하는 것에 추가하여 cryptorgraphic services,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도 중지시키고 c:\windows\sysetm32\catroot2 폴더도 삭제 했었고
그리고 긴 시간 뒤에 수 차례 '다운로드'를 눌러주고나서 '현재 최신 상태입니다'를 보게 되었다
업데이트가 되고 나서 메머리 (작업관리자 - 프로세스)를 확인하니 쓰지 않는 edge 같은 게 떠 있다 설정 - 앱 및 기능 - 고급 옵션에서 기능 정지 (위치, 카메라, 마이크, 계정 정보, 사진, 백그라운드 앱 모두 끔)
windows 10 update가 완료 되어 보니, one drive가 열려있고, xbox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 되어있었다 또 사용하지도 않는 outlook이 최신이 아니라는 메시지가 계속 뜬다
sendanywhere로 파일을 보내보니, windows 10 update가 정지 되었던 pc의 랜 카드에 이상이 있었던 것 같다 파일 보내기가 처음으로 실패 했다 그래서 빠른 속도로 계속해서 파일이 전송되지 않았던 것 같은데 youtube 영상은 끊김이 없었으니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ping 손실도 없고 해서 폴더 용량을 확인하니 용량 부족이었다 windows old를 삭제 해야 하겠다
파일 전송이 안 되었던 것은 받는 쪽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os 문제일 수도 있다랜 칩이나 mainboard도 가능성이 있다
youtube 스트리밍이 느린 지, 같은 파일의 동영상이 느린 지는, 4k video downloader로 해당 파일을 받아 같은 해상도로 확인하면 될 것 같다 ubuntu용도 있다 이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할 때에는 다운로드 되지 않고 에러가 날 수 있는데 대개는 업데이트 한 뒤에 다운로드가 된다 혹시 안 되면 동영상을 받게 해주는 주소도 있다
윈도우 업데이트 무한로딩 오류 해결하는 꿀팁!
https://www.youtube.com/watch?v=OM9Ljh7xSv0
Video DownloadHelper
https://apost.kr/109
firefox 오른 쪽 위에 뜨는데 받으려고 보니 720P다
오늘 확인하니, 4k video downloader가 유료화 되었다 무료라도 1080P 이상의 고화질 영상은 받을 수 없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특정 주소에서 주소 입력하고 받는 곳도 있었다
다시 받아보니 '다운로드 클립'으로 받아진다 그런데 ubuntu firefox에서만 받아지고 windows 10 firefox에서는 받아지지 않는다 혹시나 하고 windows 10에서의 4k video downloader의 다운로드 폴더 설정을 보니 c:\로 돼있었다 root에는 파일이 받아지지 않는다 하위 폴더를 하나 지정하고 받았더니 받아진다 아직까지는 유료화 작업 중인 것 같다 영상 하나를 받아서 보니 youtube로 720P도 심하게 끊기는데, 받은 MP4 1080P 화면은 미세하게 끊기고 실행이 되었다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사이트 정리
https://grapherstory.tistory.com/222
컴퓨터 랜카드 > 고장 확인 자가진단 방법
https://honeycacao.tistory.com/121
cmd - ping 127.0.0.1 - 손실 0
모니터 특성
특정 pc만 들어가면, 설치 화면이 나오다 그림이 일부 깨지면서 설치가 안 되거나 먹통이 되거나, 다른 pc에서 설치가 잘 되어 그 pc만 들어가면 부팅이 되다 또 먹통이 된다 그래서 mainboard 이상이겠거니 하고 다른 모니터를 연결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다른 모니터는 구형 15 인치 모니터다 크로스오버존 44K UHD LED 모니터가 부팅 시 인식다 또는 연결 (신호 없음)이 안 되었다
단자 접촉 위치 교체, 모니터 뒤에서 설정값 변경, 그래픽 카드 교체, dvi(-d) cable version 교체
ubuntu 19도 정상 부팅 되었다
모니터 뒤 osd 메뉴 버튼 작동 안 함
그래픽 카드 매치 문제 같음
DVI-D single, dual 차이?
opensuse 설치 때 화면이 깨졌던 것을 생각하면, DVI-D dual, hdmi,dp cable이 필요할 것 같다
(화소 데이터 증가)
아니면, 그래픽 카드 해상도 낮춤
pc와 모니터가 여러 대 있을 경우, graphic 카드+대형 모니터 쪽을 hdmi+DVI-D dual로 연결, 소형 모니터 쪽을 DVI-D single로 교체 연결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graphic card-hdmi to hdmi-monitor 연결이 제일 많은 경우로 양 쪽 다 hdmi cable을 사용해야 큰 모니터에 영상이 깨지지 않고 전달 될 것 같음
더 간단히 말하자면, graphic card에 hdmi나 dp 연결 단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 그런데 양 쪽 다 dp인 경우가 드무니까 양 쪽 다 hdmi인 cable이 필요하다는 것
괜히 opensuse, fedora, centos, mint, ubuntu, windows 10 이 것도 여러번 설치하느라 몇 일허비함 그런데 centos 설치 때 fs가 다르고 그 안에 전에 쓰던 os 파일이 남아있다고 용량 부족 메시지가 떠서 당황했는데 생각해보니 전에도 그랬었다
인용:
hdmi to hdmi라면 graphic 카드와 모니터 연결 단자가 hdmi여야 하는데 dvi가 흔하다 graphic card를 hdmi 단자가 있는 것으로 바꿀까 하다가 hdmi-dvi cable보다 보낸 데이터 그대로 받는 DVI-D single-DVI-D single cable를 쓰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이 모니터에 연결했던 cable이 아닌 다른 cable (cable 양 쪽에 뭉치가 큰 것들이 있는)을 연결했더니 멀쩡하게 화면이 나온다
전에도 같은 구조의 cable을 안 쓴 것도 아니고, 또 다른 pc에서는 되고 특정 pc와 연결되었을 때만 화면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저 뭉치가 어떤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 문제 없이 대형 화면에 DVI-D single - hdmi로 연결 되었던 graphic card는 geforce 8600gt 250mb였고 화면이 나오지 않고 '신호 없음' 표시가 난 pc의 graphic card는 geforce 9500gt 256mb였다
이제 화면은 모니터에 나오기는하는데 pc가 엄청나게 느려지고 굳어버리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대형 모니터로 모니터가 바뀌면 graphic card도 더 빠른 것으로 바꿔야 할 것 같다
모니터 해상도를 높인 뒤에는 느리거나 정지되어 작업이 안 된다
cable을 바꾼 뒤 달라진 것은 화면이 나온다는 것 뿐, 작은 모니터로 빠른 작업을 하고 youtube 1080P 영상을 끊김 없이 보던 것과는 완전히 달라졌다 대형 모니터 때문이다
15인치 모니터에 연결하면 720P 전체화면 영상이 끊김이 없지만, 40인치 모니터에 연결하면 144P 전체화면에서도 끊겨보인다 영상의 가로 세로 크기가 같아야 끊기는 정도가 비슷하게 보인다는 이야기다
8500gt가 9500gt보다 약 두 배가 기판이 크다 그래서 두 그래픽 카드를 바꿔서 해본다 모니터 크기가 어느 정도 영상 구현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려고 한다
원래 이 시스템이 빨랐다 windows 10으로 볼 때는 1080P에서 youtube 영상을 끊김 없이 봤다 graphic card를 교환했더니 부분적으로 화면이 깨진다 windows 10에서 볼 때는 설정-앱에서 onedrive, xbox 등 불필요한 기능은 다 끄거나 삭제 했다
그래서 이보다 조금 느린 시스템에, 사놓고 한 번도 안 쓴 새 카드 geforce gt 1030을 장착해서 보았다 이 graphic card 최고 해상도가 1080P (1902 X 1080) (권장)이다 (나중에 부팅하고 보니, 해상도 3840 X 2160P였고 텍스트 크기는 200%로 했는데 앞에 장착했던 두 graphic card와 다르게 문자가 선명했다) 대형 모니터에 해상도 설정을 따로 할 것 없이 딱 맞게 잡혔다 그런데 더 느리고 그래픽 처리가 깨지기까지 했던 것은 2160P까지 나왔었고 그 것을 해상도로 잡아 영상을 실행했으니 당연히 버벅거릴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다 그 생각을 하진 못 했었다 어쨌든 이 시스템에선 1080P를 (더 높은 해상도로 잡지말고) 기본 해상도로 잡아놓고 다른 것을 조정해야 하겠다
이 graphic card는 1080P에서 끊기고 720P에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끊기지 않았다 memory 관리를 잘 하면, 또는 windows 10에서 memory 관리만 잘 하면 1080P로 대형화면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os는 windows 10이다 시간이 좀 지나니 1080P youtube 영상이 거의 끊기지 않고 잘 보인다 다음엔 ubuntu 19를 새로 설치하고 시험해보아야 하겠다 이 graphic card와 대형 모니터를 매치할 수 있다면 그렇게 사용하는 게 낫겠다
youtube 1080P 제일 작은 화면으로 밑의 comment가 한 줄 씩 나타나는 걸 보니 이 시스템이 느리긴 느린 것 같다 music video 1080P 동영상은 끊김 없이 보였다 cable은 DVI-D single-DVI-D single을 사용하였다 cable을 DVI-D single to hdmi로 했는데 (2160P로 화면 설정을 하고 cable을 양 끝이 다른 것으로 했어도) 화질 진행은 비슷했다 그런데 19인치 모니터에 비할 바가 아니게 40인치 모니터 영상은 대단했다 멀리서 50인치 TV를 볼 때는 아무런 다른 느낌도 없었던 것과도 다르다
여기서, 좀 더 나은 graphic card에서는 data cable을 대충 연결해도 되지만 좀 덜 나은 graphic card라면 양 쪽 끝이 같은 data cable, 되도록이면 dp cable, 아니면 hdmi cable을 쓰는 게 낫다
대형 모니터에서 해상도가 너무 높아 2160p에서 하향 조정하면 화면이 깨져서 볼 수가 없다 '확인'을 눌러야 하는데 누를 수 없다 작은 모니터에서 조금씩 내려가며 맞춘 다음 대형 모니터에 연결해서 써야 할 것 같다
부팅을 하면 작은 모니터에 맞게 해상도가 자동 조정된다 그래도 작은 모니터에서는 설정 화면이 깨지지 않는데 대형 화면에 연결하면 다시 최고 회상도로 올라가버리니 해상도 조정이 안 된다 높은 해상도 설정으로는 pc 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ubuntu의 의도는 모니터에 맞는 graphic card를 써라
화면이 깨져서 설정이 안 되어도 가끔 키보드로 방향 조정은 할 수 있다
해상도를 한 칸만 낮춰도 큰 글자기 된다 화면을 읽을 수 없으면 작은 모니터로 연결해서 화면 정상화
화면 그림이 깨지는 것은, graphic card 접촉 불량일 때도 그럴 수 있다
화면 그림이 깨져서 복구가 안 된다 작은 모니터에서 다시 최대 해상도로 올려놓은 다음 그래도 안 되면 재설치 할까 opensuse로 설치할까 생각 중이다
화면 그림이 깨져 다시 설치하는데 바탕 화면 전체가 깨진 화면이다 거기서 작은 설치 창만 하나 나와 있다 그래도 설치 창은 깨지지 않았지만 그 다음은 어떻게 될 지 모른다
새로 설치하고 끌 때 pc 끄기는 보인다 부팅하면서 최고 해상도로 다시 돌아왔다 opensuse, centos, fedora는 다른 디스크에 설치해보고 싶다
2160P에서 딱 한 칸만 밑으로 내렸는데 또 화면이 깨진다 크기 조정 200%로 하니까 커서가 커진다 ubuntu 19는 화면이 자주 정지된다
해상도는 2880 X 1620 (16:9)가 적당한데 크기 조정 200%, TV에 맞게 조정이 될지 모르겠다 화면 그림이 자주 깨진다
크기 조정 200%는 커서가 너무 커지고 100%는 커서가 너무 작다
fs
전에는 windows 10, ubuntu를 각각 다른 하드디스크에 설치하였다 파티션 나누기는 windows 10이 편하다 C:에 50 G를 배당하고 나머지는 모두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 쓰면 된다 더 신경 쓸 필요도 없고 C:에 공간이 있으면 거기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둘로 나뉜 공간에 어디에 어떤 파일이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나중에 os 부팅이 안 될 때는 복구 작업하기도 쉽다 그래서 ubuntu로 부팅을 하면서도 windows 10이 설치된 디스크의 공간을 ntfs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windows 10이 설치된 D: 공간을 ext4로 사용해도 될 것 같다 나는 windows 10을 조이 패드 설정용도로만 쓴다 만약 q4wine에서 조이패드 설정이 가능하다면 더 이상 windows 10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진다 그런데 요즘은 ubuntu가 ntfs에 파일 저장할 때 에러가 나기 시작한다 또 파일관리가 windwos에서보다는 불안정 하기도 하다 파일 이동에서 windows에서는 에러가 난 적이 없지만, ubuntu에서는 파일이 일부 이동해도 마치 전 파일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 먼저 파일을 지우게 되면 용량 미달인 이동된 파일은 쓸 모가 없어진다 요즘은 alt+PrintScreen+r,s,e,i,u,b를 눌러 재부팅 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마우스만 움직이고 아무 작업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많아져간다
오늘은 받는 파일명에 괴문자가 들어가 있고 휴지통 비우기도 안 된다 또 더 이상 받지 않는 파일이 들어와 있고 삭제도 안 되고, 어쩌다 휴지통에 들어가도 비워지지도 않는다
......
cpu 쿨러 기판 고정 핀이 플라스틱이면 몇 년 뒤에는 분해할 때 깨지기 쉽다 (cpu 교체할 때 주의) 나사형은 단단해서 고장나지 않는다 mainboard에 cpu 쿨러를 고정하는 핀이 깨지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낚시줄이나 실 같은 것으로 묶는다 단단히 고정되지 않으면 cpu에 열이 많아 저절로 부팅되기 쉽다 기판 앞 뒤로 통과하면서 단단하게 묶고 팬 반대편 쪽에서 실끼리 또 한 번 조이면 덜렁거리지 않고 단단하게 붙는다 열에 의해 늘어날 수 있으므로 끄고 가끔 흔들어본다
갑자기 모니터가 먹통이 된다 그래서 모니터 뒤의 hdmi 단자를 옆 단자로 옮겨보니 모니터 화면이 나온다 귀신 곡할 노릇이다 몇 시간 지나고 원래 접속했던 hdmi 단자에 옮기니 거기서도 화면이 나온다 케이블 문제? 단자 접촉 문제?
pc에, opensuse의 tumbleweed, leap 둘 다 설치된 뒤 화면이 엉망이었다 leap은 약간 메뉴가 보이긴 했다 mint도 메뉴가 보이긴 했지만 작동하지 않았고 ubuntu 19 desktop만이 설치가 되었다 그런데 평소에 알고 있었던 것과 달리 windows 10만이 그 pc에서 설치도 잘 되고 작동도 잘 된다는 것이다 ssd에 설치하면 youtube 1080P까지 끊김 없이 볼 수 있었다 windows 10은 geforce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따로 받아 설치해주니 해상도가 저절로 알아서 잡혀 고해상도가 되었다 문자 크기를 200으로 하니 대형 화면과 맞았다 100으로 하면 글자가 잘 안 보인다 geforce 카드 겉에 있는 수로 8600이면 8 시리즈를 받아 설치했다 9500이면 9 시리즈에서 받았는데 그냥 8 시리즈 받아서 해도 되었다 받은 파일 이름은 같다 youtube 영상 보는데는 ubuntu보다 windows 10이 빠른 것처럼 보였다 windows 10에서는 작동에 방해가 되는 것은 삭제하거나 기능 정지 시켰다 예컨데 나는 쓸 줄도 모르는 onedrive 같은 것이나 edge, internet explorer 같은 것이다 windows에서는 chrome만 쓰고 ubuntu에서는 firefox만 쓴다 pc 중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지 않고 앞 쪽 오디오 연결 단자에 뭘 꼽아야 소리가 났던 것은 mainbord 연결선을 앞 쪽 audio 단자와 끊으니 정상 작동 되었다 case audio 선 상태 불량이었던 것이다 windows 10 update 실패는 아무리 폴더를 지우고 해도, 3%, 1%, 19%에서 정지하고 진행되지 않았다 나는 windows 10 새로 설치하고 귀찮은 게, 폴더 아이콘으로 보는 기본 설정이다 제일 작은 글자로 보는 게 많이 볼 수 있어 좋은데 열린 폴더마다 바꿔주는 게 보통 귀찮은 일이 아니다 또 전에는 파일 선택이 파일명 단위로 되었던 것을 뒤에는 줄 전체 선택으로 바뀐 것도 불편하다 파일명 줄 선택은 ubuntu에서 쓰는 방식인데 아주 불편하고 ubuntu에서는 글자가 windows 10처럼은 작아지지 않는다
opensuse는 3G usb에 설치하려니 작은 network image를 받아 설치하면 시간이 대단히 많이 걸린다 그냥 처음부터 dvd image로 좀 더 큰 용량의 usb에 담아 설치하는 게 낫다
만약 torrent 파일을 받기 위해 시스템을 24 시간 켜두어야 한다면, 반드시 집에 있는 pc 중 제일 느린 것을 사용해야 한다 pc를 식히는 시간 없이 오래 사용하면 mainboard 컨덴서가 부풀어 오르면서 이해할 수 없는 오류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컨덴서 교체도 옛날 납이 아니라 교체하기도 쉽지 않다
한 시스템에서 유난히 ubuntu 19가 불안정 했다 마우스만 움직이고 다른 작업은 안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ubuntu 18로 바꾸니 더 불안정 했다 mainboard를 보니 컨덴서 몇 개가 부풀어있다 24 시간 켜두는 게 아니었다
하나의 시스템에 두 디스크에 각각 windows 10과 ubuntu 19를 설치하였고, windows 10의 D: 파티션을 ext4로 포맷하였는데 ubuntu에서 쓰기가 안 되었다 차라리 ntfs로 하고 ubuntu에서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게 낫겠다 windows에서도 '읽기 전용'을 해제해줘야 한다
https://gyuha.tistory.com/507
gparted를 설치해서 sdb1, sdb2를 구분할 수 있다
나는 앞에 sudo를 붙여 sudo ntfsfix /dev /sda2로 해야 설치가 되었다
이 명령어는 부팅 후에 적용된다
pc를 만지다보면 별 이상한 일들이 많이 생긴다
눈이 많이 오는 어느 날, 파일 작업을 하고 pc를 끄고 자려고 화장실을 갔다와서 혹시나 하고 pc를 다시 켜보니 아까 작업하던 파일들이 보이지 않는다 신기한 일이었다 여러 작업을 해보고 혹시나 하고 전기계량기로 가서 전압을 재어보니 180V가 나온다 그런데 그 전에 이미 하드디스크 format을 해버린 뒤였다 그 곳은 낙뢰가 많은 지역이다 랜 카드는 다 고장 났고 전기 제품도 고장나지 않은 게 없었다 tv, 김치냉장고, 위성수신기, 해충퇴치기, 형광등... 김치냉장고는 삼성 서비스에서 나왔는데 그냥 새 것 하나 사라고 하곤 가버렸다 다른 지방으로 이사 가서 서비스 맨이 나와서 온도 센서를 밖에서 냉장고 안으로 걸쳐둔다 세상에.. 눈이 많이 쌓여 하루 두 번 들어오는 시내버스도 안 다니는데 한전차량도 사흘 동안 들어오지 않았다 냉동 음식은 다 버리게 되었는데 지금 생각하니 왜 공사용 캐터필러 차량이 한국엔 한 대도 없을까?가 궁금해졌다 한전이 적자나도 3,000 억 원씩 직원들 성과급으로 나눠먹는 자들이 캐터필러 한 대 사면서도 뒷 돈 오가면서 짝짜꿍일 텐데 그 짓은 왜 안 했을까?
다음은 한 대의 pc에서 일어난 것이다
1. usb로 os 설치가 안 된다
2. 전원 버튼을 눌러도 pc가 켜지지 않는다
3. 앞 오디오 연결 부분에 잭을 꼽아야 소리가 난다
4. 사운드 카드 잡기가 어렵다
5. mainboard 상의 그래픽 카드 단자가 있는데 거기에 연결하면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6. 다른 pc에서 windows 10과 ubuntu 18을 설치한 디스크를 삽입해서 부팅하면 windows 10만 부팅되고 다른 것은 검은 화면만 나온다
7. 전원 스위치로 전원이 켜지지 않으니 키보드 부팅 설정은 했는데 키보드, 마우스 부팅이 안 된다
8. usb는 어떤 것은 되고 어떤 것은 안 된다
9. sata 단자가 넷 중 둘이 cmos에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어떻게 하면 다시 나타난다
2. case의 전원 스위치 불량 - 스위치 기판 뒤에서 합선시키면 전원이 연결 된다
3. case의 audio 선 불량 - mainboard에서 case에 달려있는 audio 케이블을 뽑으면 소리가 난다
4. 3의 상태를 파악하지 못 하고 오디오 설정을 하니 windows 10에서 오디오 테스트 창에 해당 sound가 나오지를 않는다 ubuntu에서는 아예 설정도 할 수 없다
7. usb 대기 전력 mode가 두 곳 있는데 1-2, 2-3 접점으로 해도 안 되고 cmos setup에서 설정을 바꿔도 안 된다
컴퓨터 USB로 부팅이 안될 때
https://www.google.co.jp/search?source=hp&ei=XuEnXd7VBcam8AXYl534DA&q=os%EB%A1%9C+usb+%EC%84%A4%EC%B9%98%EA%B0%80+%EC%95%88+%EB%90%A0%EB%95%8C&oq=os%EB%A1%9C+usb+%EC%84%A4%EC%B9%98%EA%B0%80+%EC%95%88+&gs_l=psy-ab.1.1.33i160l2.6328.16823..21036...12.0..1.136.2676.0j23......0....1..gws-wiz.....0..0j0i19j0i10i19j33i21.3Kn4gZNDTT0
cmost setup에서
security - secure boot option - disable
main - boot features - csm features - yes
legacy boot - disabled
(나의 경우는 advanced - usb functions - legacy usb support - disabled로 했더니 usb가 나타나지 않았다)함
컴퓨터가 부팅 USB를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바이오스의 Fast BIOS
https://comterman.tistory.com/2003
fast bio mode - off
usb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 on으로 하면 usb를 찾지 않고 넘어간다고 함 그래서 usb를 인식하지 못함
usb 메모리가 부팅이 안 될 때
https://nets94.tistory.com/50
시작-실행-cmd
도스창에서
> diskpart
누르면 diskpart 모드로 들어 간다.
list disk
select disk '선택할 스토리지번호'
출처: https://nets94.tistory.com/50 [마테우스]
도스창에서
> diskpart
누르면 diskpart 모드로 들어 간다.
list disk
select disk '선택할 스토리지번호'
출처: https://nets94.tistory.com/50 [마테우스]
cmd (windows powershell - 관리자형으로 하면 문자가 작게 나와 안 보일 수 있다)
diskpart.exe
list disk
selct disk
clean
create partition primary
active
format fs=ntfs quick
assign
exit
이렇게 하니, usb가 정상적으로 설치 과정에 들어갔다 설치하려고 했던 게 mint였는데 다시 ubuntu로 설치해야 하겠다 mainboard 문제로 usb 설치가 안 되는 줄로만 알았는데 usb 문제라는 것은 처음 알게 되었다 이 usb가 처음부터 os 설치가 안 되었던 것이 아니다 잘 되다 갑자기 안 되니 system을 의심할 수 밖에..
rufus가 안 되나하는 생각에 ultraiso도 해봤지만 안 되었다
ubuntu 18은 19보다 안정적이고 mint보다는 훨씬 안정적이다 mint 때는 뭘 하나 잘 못 손대면 부팅이 도스 같은 검은색 문자로만 나온다 opensuse도 안정적이긴 한데 오디오가 지직거리며 나온다 ubuntu 18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으면 몇 일 뒤에 19로 업그레이드 할 거냐고 물어온다 무심코 19를 설치해서 후회하다 18을 다시 설치해보니 19에 없는 게 많아 불편했다 화면 해상도 설정이 잘 되서 ubuntu를 설치하려고 한다 21:9 화면 같은 것은 windows 10에 있지도 않다 geforce 같으면 이제 찾아가서 드라이버를 받을 수 있게 되긴 하였지만..
시작-실행-cmd
도스창에서
> diskpart
누르면 diskpart 모드로 들어 간다.
list disk
select disk '선택할 스토리지번호'
출처: https://nets94.tistory.com/50 [마테우스]
ubuntu 19를 받으면서 '로봇이 아닙니다'에 계속 체크를 해줘야 한다 파일이 덜 받아져서 왜 그러나 했더니 중간에 또 나온다
usb로 부팅이 안 되면 다음 이유로 혼동이 생긴다
1. usb 접촉부 상태 불량 (mainboard나 전면 연장된 usb 소켓)
2. 처음부터 usb 부팅이 안 되는 것도 아니고 몇 초 동안 설치화면이 나오다가 먹통이 된다
3. usb 수명이 다 된 건 아닌가?
usb로 os 설치가 잘 되던 게 왜 안 될까를 생각해보니, fat32 file system 자체가 갑자기 전원이 차단되면 (pc 가동 중에 갑자기 usb를 뺀다든 지 하여) 정보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다
윈도우 10] 업그레이드 멈춤 현상 해결 방법
https://aner.tistory.com/151
위의 것으론 안 되어 다음 것으로 해본다
윈도우10 업데이트 확인중 무한로딩 해결 방법 - 익스트림 매뉴얼
https://extrememanual.net/6073
위의 두 방법으로도 안 되어 수동으로 해본다
윈도우10 업데이트 도중 멈춰서 진행이 안될 때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
https://mainia.tistory.com/5505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출처: https://mainia.tistory.com/5505 [녹두장군 - 상상을 현실로]
출처: https://mainia.tistory.com/5505 [녹두장군 - 상상을 현실로]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출처: https://mainia.tistory.com/5505 [녹두장군 - 상상을 현실로]
출처: https://mainia.tistory.com/5505 [녹두장군 - 상상을 현실로]
http://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업데이트가 실패했다고 나오는 경우 파일명으로 간단하게 나오지 않고 날짜로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위의 방법도 실패, 그래서 '업데이트 설치 제거'를 해본다
그래서 다시
윈도우10 업데이트 오류 실패 조치방법 - 대디의 IT공방 - 티스토리
https://appadal.tistory.com/804
서비스 창에서 windows update 정지 시키고, windows 아래의 해당 폴더 삭제 (windows\softwaredistibution)하고 오래 기다려 update 하니 3%에서 정지했던 게 5%로 올라가고 있는 중
지금까지 windows 10 새로 설치보다 오래 걸리고 있다 update %가 늘지 않고 고정된 상태라면? 새로 설치..
생각해보니, 업데이트 오류는 처음 경험한다 이유는 일 년 넘게 사용하지 않은 pc에서 일어나는 것 같다 특히 download 폴더는 blocker로 삭제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고 수동으로 파일을 받으려 해도 그 파일도 없다고 나오거나 받아지지도 않았다 작업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세 개의 프로그램도 한참 있다가 보면 중단이 안 되어있었다 통째로 다시 설치하는 방법이 좋긴한데, 설정 값이 바뀌는 게 뭣보다 귀찮다 왜 굳이 windows update 관련 폴더를 긴 시간 삭제하려고 했던 지는 그 설정값 때문이었던 것 같다
다음엔 설정값을 유지하며 iso 파일을 다시 받아 설치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update가 안 되면 이 방법을 쓰는 게 빠를 것 같다
정상적인 windows 10 update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이 비정상적인 update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다가도 되기만 하면 되지만, 그 것도 쉽지 않다
윈도우 10 업데이트 실패 시 최종 해결책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1657980
'구글 검색해 보면 여러가지 해결책들이 보이는데 저한테는 아무런 도움도 안되었습니다.
~
결국 전 재설치를 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건 윈도우 10은 사용자 설정을 남겨둔채로 OS만 재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죠.
USB 스틱에 윈도우 미디어 크리에이션 도구를 이용해서 이미지 다운받고 재부팅하지 마시고, 윈도우 상태에서 설치하시면 기본값이 개인 설정을 유지한채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서비스(로컬)에서 windows update 중지하고 c:\windows\softwaredisribution 폴더를 삭제하는 것에 추가하여 cryptorgraphic services,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도 중지시키고 c:\windows\sysetm32\catroot2 폴더도 삭제 했었고
그리고 긴 시간 뒤에 수 차례 '다운로드'를 눌러주고나서 '현재 최신 상태입니다'를 보게 되었다
업데이트가 되고 나서 메머리 (작업관리자 - 프로세스)를 확인하니 쓰지 않는 edge 같은 게 떠 있다 설정 - 앱 및 기능 - 고급 옵션에서 기능 정지 (위치, 카메라, 마이크, 계정 정보, 사진, 백그라운드 앱 모두 끔)
windows 10 update가 완료 되어 보니, one drive가 열려있고, xbox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 되어있었다 또 사용하지도 않는 outlook이 최신이 아니라는 메시지가 계속 뜬다
sendanywhere로 파일을 보내보니, windows 10 update가 정지 되었던 pc의 랜 카드에 이상이 있었던 것 같다 파일 보내기가 처음으로 실패 했다 그래서 빠른 속도로 계속해서 파일이 전송되지 않았던 것 같은데 youtube 영상은 끊김이 없었으니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ping 손실도 없고 해서 폴더 용량을 확인하니 용량 부족이었다 windows old를 삭제 해야 하겠다
파일 전송이 안 되었던 것은 받는 쪽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os 문제일 수도 있다랜 칩이나 mainboard도 가능성이 있다
youtube 스트리밍이 느린 지, 같은 파일의 동영상이 느린 지는, 4k video downloader로 해당 파일을 받아 같은 해상도로 확인하면 될 것 같다 ubuntu용도 있다 이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할 때에는 다운로드 되지 않고 에러가 날 수 있는데 대개는 업데이트 한 뒤에 다운로드가 된다 혹시 안 되면 동영상을 받게 해주는 주소도 있다
윈도우 업데이트 무한로딩 오류 해결하는 꿀팁!
https://www.youtube.com/watch?v=OM9Ljh7xSv0
Video DownloadHelper
https://apost.kr/109
firefox 오른 쪽 위에 뜨는데 받으려고 보니 720P다
오늘 확인하니, 4k video downloader가 유료화 되었다 무료라도 1080P 이상의 고화질 영상은 받을 수 없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특정 주소에서 주소 입력하고 받는 곳도 있었다
다시 받아보니 '다운로드 클립'으로 받아진다 그런데 ubuntu firefox에서만 받아지고 windows 10 firefox에서는 받아지지 않는다 혹시나 하고 windows 10에서의 4k video downloader의 다운로드 폴더 설정을 보니 c:\로 돼있었다 root에는 파일이 받아지지 않는다 하위 폴더를 하나 지정하고 받았더니 받아진다 아직까지는 유료화 작업 중인 것 같다 영상 하나를 받아서 보니 youtube로 720P도 심하게 끊기는데, 받은 MP4 1080P 화면은 미세하게 끊기고 실행이 되었다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사이트 정리
https://grapherstory.tistory.com/222
컴퓨터 랜카드 > 고장 확인 자가진단 방법
https://honeycacao.tistory.com/121
cmd - ping 127.0.0.1 - 손실 0
모니터 특성
특정 pc만 들어가면, 설치 화면이 나오다 그림이 일부 깨지면서 설치가 안 되거나 먹통이 되거나, 다른 pc에서 설치가 잘 되어 그 pc만 들어가면 부팅이 되다 또 먹통이 된다 그래서 mainboard 이상이겠거니 하고 다른 모니터를 연결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다른 모니터는 구형 15 인치 모니터다 크로스오버존 44K UHD LED 모니터가 부팅 시 인식다 또는 연결 (신호 없음)이 안 되었다
단자 접촉 위치 교체, 모니터 뒤에서 설정값 변경, 그래픽 카드 교체, dvi(-d) cable version 교체
ubuntu 19도 정상 부팅 되었다
모니터 뒤 osd 메뉴 버튼 작동 안 함
그래픽 카드 매치 문제 같음
DVI-D single, dual 차이?
opensuse 설치 때 화면이 깨졌던 것을 생각하면, DVI-D dual, hdmi,dp cable이 필요할 것 같다
(화소 데이터 증가)
아니면, 그래픽 카드 해상도 낮춤
pc와 모니터가 여러 대 있을 경우, graphic 카드+대형 모니터 쪽을 hdmi+DVI-D dual로 연결, 소형 모니터 쪽을 DVI-D single로 교체 연결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graphic card-hdmi to hdmi-monitor 연결이 제일 많은 경우로 양 쪽 다 hdmi cable을 사용해야 큰 모니터에 영상이 깨지지 않고 전달 될 것 같음
더 간단히 말하자면, graphic card에 hdmi나 dp 연결 단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 그런데 양 쪽 다 dp인 경우가 드무니까 양 쪽 다 hdmi인 cable이 필요하다는 것
괜히 opensuse, fedora, centos, mint, ubuntu, windows 10 이 것도 여러번 설치하느라 몇 일허비함 그런데 centos 설치 때 fs가 다르고 그 안에 전에 쓰던 os 파일이 남아있다고 용량 부족 메시지가 떠서 당황했는데 생각해보니 전에도 그랬었다
인용:
대부분의 4K UHD TV는 3840x2160@ 60Hz의 제대로된 4K 영상
출력을 위해 연결 인터페이스로 HDMI 2.0 이상의 규격을 요구한다. 하지만 구형 PC(정확히는 그래픽카드)의 상당수는 HDMI
1.X 버전까지만 지원해 4K 출력시 '30Hz'의 반쪽짜리 화질로만 출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MDI 2.0을 기본 지원하는 '지포스 GTX 900 시리즈' 또는 '라데온 RX 400 시리즈 '이상의 최신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01/2016110185044.html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MDI 2.0을 기본 지원하는 '지포스 GTX 900 시리즈' 또는 '라데온 RX 400 시리즈 '이상의 최신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01/2016110185044.html
hdmi to hdmi라면 graphic 카드와 모니터 연결 단자가 hdmi여야 하는데 dvi가 흔하다 graphic card를 hdmi 단자가 있는 것으로 바꿀까 하다가 hdmi-dvi cable보다 보낸 데이터 그대로 받는 DVI-D single-DVI-D single cable를 쓰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이 모니터에 연결했던 cable이 아닌 다른 cable (cable 양 쪽에 뭉치가 큰 것들이 있는)을 연결했더니 멀쩡하게 화면이 나온다
전에도 같은 구조의 cable을 안 쓴 것도 아니고, 또 다른 pc에서는 되고 특정 pc와 연결되었을 때만 화면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저 뭉치가 어떤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 문제 없이 대형 화면에 DVI-D single - hdmi로 연결 되었던 graphic card는 geforce 8600gt 250mb였고 화면이 나오지 않고 '신호 없음' 표시가 난 pc의 graphic card는 geforce 9500gt 256mb였다
이제 화면은 모니터에 나오기는하는데 pc가 엄청나게 느려지고 굳어버리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대형 모니터로 모니터가 바뀌면 graphic card도 더 빠른 것으로 바꿔야 할 것 같다
모니터 해상도를 높인 뒤에는 느리거나 정지되어 작업이 안 된다
cable을 바꾼 뒤 달라진 것은 화면이 나온다는 것 뿐, 작은 모니터로 빠른 작업을 하고 youtube 1080P 영상을 끊김 없이 보던 것과는 완전히 달라졌다 대형 모니터 때문이다
15인치 모니터에 연결하면 720P 전체화면 영상이 끊김이 없지만, 40인치 모니터에 연결하면 144P 전체화면에서도 끊겨보인다 영상의 가로 세로 크기가 같아야 끊기는 정도가 비슷하게 보인다는 이야기다
8500gt가 9500gt보다 약 두 배가 기판이 크다 그래서 두 그래픽 카드를 바꿔서 해본다 모니터 크기가 어느 정도 영상 구현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려고 한다
원래 이 시스템이 빨랐다 windows 10으로 볼 때는 1080P에서 youtube 영상을 끊김 없이 봤다 graphic card를 교환했더니 부분적으로 화면이 깨진다 windows 10에서 볼 때는 설정-앱에서 onedrive, xbox 등 불필요한 기능은 다 끄거나 삭제 했다
그래서 이보다 조금 느린 시스템에, 사놓고 한 번도 안 쓴 새 카드 geforce gt 1030을 장착해서 보았다 이 graphic card 최고 해상도가 1080P (1902 X 1080) (권장)이다 (나중에 부팅하고 보니, 해상도 3840 X 2160P였고 텍스트 크기는 200%로 했는데 앞에 장착했던 두 graphic card와 다르게 문자가 선명했다) 대형 모니터에 해상도 설정을 따로 할 것 없이 딱 맞게 잡혔다 그런데 더 느리고 그래픽 처리가 깨지기까지 했던 것은 2160P까지 나왔었고 그 것을 해상도로 잡아 영상을 실행했으니 당연히 버벅거릴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다 그 생각을 하진 못 했었다 어쨌든 이 시스템에선 1080P를 (더 높은 해상도로 잡지말고) 기본 해상도로 잡아놓고 다른 것을 조정해야 하겠다
이 graphic card는 1080P에서 끊기고 720P에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끊기지 않았다 memory 관리를 잘 하면, 또는 windows 10에서 memory 관리만 잘 하면 1080P로 대형화면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os는 windows 10이다 시간이 좀 지나니 1080P youtube 영상이 거의 끊기지 않고 잘 보인다 다음엔 ubuntu 19를 새로 설치하고 시험해보아야 하겠다 이 graphic card와 대형 모니터를 매치할 수 있다면 그렇게 사용하는 게 낫겠다
youtube 1080P 제일 작은 화면으로 밑의 comment가 한 줄 씩 나타나는 걸 보니 이 시스템이 느리긴 느린 것 같다 music video 1080P 동영상은 끊김 없이 보였다 cable은 DVI-D single-DVI-D single을 사용하였다 cable을 DVI-D single to hdmi로 했는데 (2160P로 화면 설정을 하고 cable을 양 끝이 다른 것으로 했어도) 화질 진행은 비슷했다 그런데 19인치 모니터에 비할 바가 아니게 40인치 모니터 영상은 대단했다 멀리서 50인치 TV를 볼 때는 아무런 다른 느낌도 없었던 것과도 다르다
여기서, 좀 더 나은 graphic card에서는 data cable을 대충 연결해도 되지만 좀 덜 나은 graphic card라면 양 쪽 끝이 같은 data cable, 되도록이면 dp cable, 아니면 hdmi cable을 쓰는 게 낫다
대형 모니터에서 해상도가 너무 높아 2160p에서 하향 조정하면 화면이 깨져서 볼 수가 없다 '확인'을 눌러야 하는데 누를 수 없다 작은 모니터에서 조금씩 내려가며 맞춘 다음 대형 모니터에 연결해서 써야 할 것 같다
부팅을 하면 작은 모니터에 맞게 해상도가 자동 조정된다 그래도 작은 모니터에서는 설정 화면이 깨지지 않는데 대형 화면에 연결하면 다시 최고 회상도로 올라가버리니 해상도 조정이 안 된다 높은 해상도 설정으로는 pc 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ubuntu의 의도는 모니터에 맞는 graphic card를 써라
화면이 깨져서 설정이 안 되어도 가끔 키보드로 방향 조정은 할 수 있다
해상도를 한 칸만 낮춰도 큰 글자기 된다 화면을 읽을 수 없으면 작은 모니터로 연결해서 화면 정상화
화면 그림이 깨지는 것은, graphic card 접촉 불량일 때도 그럴 수 있다
화면 그림이 깨져서 복구가 안 된다 작은 모니터에서 다시 최대 해상도로 올려놓은 다음 그래도 안 되면 재설치 할까 opensuse로 설치할까 생각 중이다
화면 그림이 깨져 다시 설치하는데 바탕 화면 전체가 깨진 화면이다 거기서 작은 설치 창만 하나 나와 있다 그래도 설치 창은 깨지지 않았지만 그 다음은 어떻게 될 지 모른다
새로 설치하고 끌 때 pc 끄기는 보인다 부팅하면서 최고 해상도로 다시 돌아왔다 opensuse, centos, fedora는 다른 디스크에 설치해보고 싶다
2160P에서 딱 한 칸만 밑으로 내렸는데 또 화면이 깨진다 크기 조정 200%로 하니까 커서가 커진다 ubuntu 19는 화면이 자주 정지된다
해상도는 2880 X 1620 (16:9)가 적당한데 크기 조정 200%, TV에 맞게 조정이 될지 모르겠다 화면 그림이 자주 깨진다
크기 조정 200%는 커서가 너무 커지고 100%는 커서가 너무 작다
fs
전에는 windows 10, ubuntu를 각각 다른 하드디스크에 설치하였다 파티션 나누기는 windows 10이 편하다 C:에 50 G를 배당하고 나머지는 모두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 쓰면 된다 더 신경 쓸 필요도 없고 C:에 공간이 있으면 거기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둘로 나뉜 공간에 어디에 어떤 파일이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나중에 os 부팅이 안 될 때는 복구 작업하기도 쉽다 그래서 ubuntu로 부팅을 하면서도 windows 10이 설치된 디스크의 공간을 ntfs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windows 10이 설치된 D: 공간을 ext4로 사용해도 될 것 같다 나는 windows 10을 조이 패드 설정용도로만 쓴다 만약 q4wine에서 조이패드 설정이 가능하다면 더 이상 windows 10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진다 그런데 요즘은 ubuntu가 ntfs에 파일 저장할 때 에러가 나기 시작한다 또 파일관리가 windwos에서보다는 불안정 하기도 하다 파일 이동에서 windows에서는 에러가 난 적이 없지만, ubuntu에서는 파일이 일부 이동해도 마치 전 파일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 먼저 파일을 지우게 되면 용량 미달인 이동된 파일은 쓸 모가 없어진다 요즘은 alt+PrintScreen+r,s,e,i,u,b를 눌러 재부팅 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마우스만 움직이고 아무 작업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많아져간다
오늘은 받는 파일명에 괴문자가 들어가 있고 휴지통 비우기도 안 된다 또 더 이상 받지 않는 파일이 들어와 있고 삭제도 안 되고, 어쩌다 휴지통에 들어가도 비워지지도 않는다
......
cpu 쿨러 기판 고정 핀이 플라스틱이면 몇 년 뒤에는 분해할 때 깨지기 쉽다 (cpu 교체할 때 주의) 나사형은 단단해서 고장나지 않는다 mainboard에 cpu 쿨러를 고정하는 핀이 깨지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낚시줄이나 실 같은 것으로 묶는다 단단히 고정되지 않으면 cpu에 열이 많아 저절로 부팅되기 쉽다 기판 앞 뒤로 통과하면서 단단하게 묶고 팬 반대편 쪽에서 실끼리 또 한 번 조이면 덜렁거리지 않고 단단하게 붙는다 열에 의해 늘어날 수 있으므로 끄고 가끔 흔들어본다
갑자기 모니터가 먹통이 된다 그래서 모니터 뒤의 hdmi 단자를 옆 단자로 옮겨보니 모니터 화면이 나온다 귀신 곡할 노릇이다 몇 시간 지나고 원래 접속했던 hdmi 단자에 옮기니 거기서도 화면이 나온다 케이블 문제? 단자 접촉 문제?
pc에, opensuse의 tumbleweed, leap 둘 다 설치된 뒤 화면이 엉망이었다 leap은 약간 메뉴가 보이긴 했다 mint도 메뉴가 보이긴 했지만 작동하지 않았고 ubuntu 19 desktop만이 설치가 되었다 그런데 평소에 알고 있었던 것과 달리 windows 10만이 그 pc에서 설치도 잘 되고 작동도 잘 된다는 것이다 ssd에 설치하면 youtube 1080P까지 끊김 없이 볼 수 있었다 windows 10은 geforce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따로 받아 설치해주니 해상도가 저절로 알아서 잡혀 고해상도가 되었다 문자 크기를 200으로 하니 대형 화면과 맞았다 100으로 하면 글자가 잘 안 보인다 geforce 카드 겉에 있는 수로 8600이면 8 시리즈를 받아 설치했다 9500이면 9 시리즈에서 받았는데 그냥 8 시리즈 받아서 해도 되었다 받은 파일 이름은 같다 youtube 영상 보는데는 ubuntu보다 windows 10이 빠른 것처럼 보였다 windows 10에서는 작동에 방해가 되는 것은 삭제하거나 기능 정지 시켰다 예컨데 나는 쓸 줄도 모르는 onedrive 같은 것이나 edge, internet explorer 같은 것이다 windows에서는 chrome만 쓰고 ubuntu에서는 firefox만 쓴다 pc 중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지 않고 앞 쪽 오디오 연결 단자에 뭘 꼽아야 소리가 났던 것은 mainbord 연결선을 앞 쪽 audio 단자와 끊으니 정상 작동 되었다 case audio 선 상태 불량이었던 것이다 windows 10 update 실패는 아무리 폴더를 지우고 해도, 3%, 1%, 19%에서 정지하고 진행되지 않았다 나는 windows 10 새로 설치하고 귀찮은 게, 폴더 아이콘으로 보는 기본 설정이다 제일 작은 글자로 보는 게 많이 볼 수 있어 좋은데 열린 폴더마다 바꿔주는 게 보통 귀찮은 일이 아니다 또 전에는 파일 선택이 파일명 단위로 되었던 것을 뒤에는 줄 전체 선택으로 바뀐 것도 불편하다 파일명 줄 선택은 ubuntu에서 쓰는 방식인데 아주 불편하고 ubuntu에서는 글자가 windows 10처럼은 작아지지 않는다
opensuse는 3G usb에 설치하려니 작은 network image를 받아 설치하면 시간이 대단히 많이 걸린다 그냥 처음부터 dvd image로 좀 더 큰 용량의 usb에 담아 설치하는 게 낫다
만약 torrent 파일을 받기 위해 시스템을 24 시간 켜두어야 한다면, 반드시 집에 있는 pc 중 제일 느린 것을 사용해야 한다 pc를 식히는 시간 없이 오래 사용하면 mainboard 컨덴서가 부풀어 오르면서 이해할 수 없는 오류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컨덴서 교체도 옛날 납이 아니라 교체하기도 쉽지 않다
한 시스템에서 유난히 ubuntu 19가 불안정 했다 마우스만 움직이고 다른 작업은 안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ubuntu 18로 바꾸니 더 불안정 했다 mainboard를 보니 컨덴서 몇 개가 부풀어있다 24 시간 켜두는 게 아니었다
하나의 시스템에 두 디스크에 각각 windows 10과 ubuntu 19를 설치하였고, windows 10의 D: 파티션을 ext4로 포맷하였는데 ubuntu에서 쓰기가 안 되었다 차라리 ntfs로 하고 ubuntu에서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게 낫겠다 windows에서도 '읽기 전용'을 해제해줘야 한다
ntfsfix /dev/sdb1
https://gyuha.tistory.com/507
gparted를 설치해서 sdb1, sdb2를 구분할 수 있다
나는 앞에 sudo를 붙여 sudo ntfsfix /dev /sda2로 해야 설치가 되었다
이 명령어는 부팅 후에 적용된다
pc를 만지다보면 별 이상한 일들이 많이 생긴다
눈이 많이 오는 어느 날, 파일 작업을 하고 pc를 끄고 자려고 화장실을 갔다와서 혹시나 하고 pc를 다시 켜보니 아까 작업하던 파일들이 보이지 않는다 신기한 일이었다 여러 작업을 해보고 혹시나 하고 전기계량기로 가서 전압을 재어보니 180V가 나온다 그런데 그 전에 이미 하드디스크 format을 해버린 뒤였다 그 곳은 낙뢰가 많은 지역이다 랜 카드는 다 고장 났고 전기 제품도 고장나지 않은 게 없었다 tv, 김치냉장고, 위성수신기, 해충퇴치기, 형광등... 김치냉장고는 삼성 서비스에서 나왔는데 그냥 새 것 하나 사라고 하곤 가버렸다 다른 지방으로 이사 가서 서비스 맨이 나와서 온도 센서를 밖에서 냉장고 안으로 걸쳐둔다 세상에.. 눈이 많이 쌓여 하루 두 번 들어오는 시내버스도 안 다니는데 한전차량도 사흘 동안 들어오지 않았다 냉동 음식은 다 버리게 되었는데 지금 생각하니 왜 공사용 캐터필러 차량이 한국엔 한 대도 없을까?가 궁금해졌다 한전이 적자나도 3,000 억 원씩 직원들 성과급으로 나눠먹는 자들이 캐터필러 한 대 사면서도 뒷 돈 오가면서 짝짜꿍일 텐데 그 짓은 왜 안 했을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