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쥐 잡는데
1. 끈끈이 - 작은 것이 비싸고 큰 것은 싸다 큰 것은 뱀을 말아 잡을 때도 쓴다
2. 쥐약 - 알약이 있고 가루약이 있다 알약은 편하지만 양을 조절할 수 없고 가루약은 불편하지만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알약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서 없어진 줄 알지만 가루약은 그 자리에서만 소비된다 작은 알갱이를 하나씩 나르는 것은 못 보았다
3. 쥐덫
등이 쓰인다
쥐는 영토 싸움이 심하다 싸움에 져서 심하게 물리면 머리뼈까지 뜯겨나간다 쥐는 다니던 길을 다니지만 그 길이 막히고 사흘 쯤 지나면 다른 길을 찾는다 쥐는 각진 곳을 기어올라간다 만약 단면이 사각형인 쇠파이프가 지붕에 걸쳐져 있다면 충분히 오를 수 있다 단면이 사각형인 나무는 더 쉽게 오를 수 있다 사람이 전봇대를 타고오르 듯한 모습으로 올라간다 점프도 잘하고 미로 개념도 있다 이 미로 개념이 또 있는 것이 뱀이다
이사를 오니 전주인이 다리가 불편했는 지 방 한 가운데와 마루 한 가운데에 철봉이 설치되어있었다 그 철봉을 꺼내고 남은 구멍에 쥐약을 넣어두었다 철봉은 문 위에 꼽혀있었다 그런데 그 구멍 바깥 쪽에 kt 광케이블이 지나가고 있었는데 쥐가 그 것을 갉아내어 끊었다 벽 안 쪽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느 길을 택해서 들어가야 하는 지를 쥐도 알고 뱀도 안다 집 근처에 나무나 지붕 높이의 담이 있으면 나무나 담을 타고 올라가 점프해서 지붕으로 올라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지붕에 길쭉한 게 기대어져 있다면 올라가기는 더 쉽다
쥐는 방 안으로 통하는 고속도로를 만들고 그 통로로 다른 벌레들이 들어올 수 있는데 귀뚜라미, 지네, 뱀..들이 그런다 그리미는 제일 많이 보는데 문 틈으로 들어올 만하게 납작하다
쥐는 비나 눈이 올 때 꼭 실내에 나타난다 쥐약을 놓아두면 그 냄새를 따라 들어온다 그러면 쥐가 들어와보니 쥐약이 있었다..가 아니라 쥐약이 쥐를 인도한 것이다 쥐는 냄새가 날 것 같지 않아도 곡식 냄새를 잘 맡는다 그런데 눈, 비가 와도 쥐가 나타나지 않을 때가 있었다 나이가 들고보니 태우는 일이 많다 그 날 음식을 심하게 태우고 탄 냄새가 주방에서 한 달 이상 빠지지 않았는데 그 동안 쥐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동안 비도 오고 눈도 왔다 누군가 목초액이 벌레를 쫓는다고 뱀도 쫓는다더니 그랬던 모양이다 고양이는 많아도 쥐잡이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쥐약을 팔면서 약사가 말한다 이 쥐약은 쥐 눈이 멀게되어 밖으로 나가서 죽는다고 다 그러지는 않는다 천장 작은 구멍으로 구더기가 계속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쥐약은 멀리 놓는 것도 좋다 실내에 접근하기 어렵게 하려는 것인데 귀뚜라미가 먹어치우는 일이 많다 천장에는 계란판을 채워두었다 천장에 쥐구멍이 있고 쥐똥이 많아도 뭔가가 남아있는 것은 못 보았다 적어도 쥐 발자국 소리는 듣지 않으려고 계란판을 올려둔다
쥐가 제일 접근하기 쉬운 통로는 구들 굴뚝 자리다 도저히 들어올 수 없을 것 같은 사방, 바닥이 모두 콘크리트라고 해도 쥐는 들어왔다 쥐약만 먹고 사라질 수 있다 바닥과 벽에 구멍이 없으면 슬레이트 지붕 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연결 다리가 없다면 지붕 근처에 감나무 같은 게 있는 지 확인 해보아야 한다 천장 통나무 옆으로 방 조명이 새어올라가면 구멍이 뚫리는 수가 있다 가끔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 쥐가 떨어져서 방에 돌아다니기도 한다 창문에 길을 만들고 창문을 살짝 열어두면 길을 찾아 금방 창문 밖으로 나간다 전선 같은 것도 잘 타고 오른다 싱크대 밑 모서리에 찐득이를 놓아두면 잡히기도 한다
벽이 이미 뚫려있다면 이중 벽을 세울 수도 있다 쥐는 손가락 한 마디 길이 정도 아래로 땅을 파나갈 수 있다 쥐구멍이 있어 쥐가 다닌다고 거기에 뭘 부어봐야 잡아낼 수 없다 ㄴ자 모양으로 수 m 씩 긴 길을 파나갈 수 있다 쥐는 전선 같은 것을 잘 갉아낸다 말려있는 전선을 한 줄로 갉아내면 전선 전체를 쓸 수 없게된다 천장은 여름에는 덥지만 겨울에는 따뜻한 곳이다 자동 난방이 되는 곳이니 쥐에게는 좋은 환경인 것이다 눈, 비만 오면 쥐는 계속 들어오니 생산량이 얼마나 많은 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들고양이는 항상 있지만, 쥐가 없을 때도 없다 명태국을 끓이는 중에 고양이 어미가 새끼까지 데리고 야옹거린다 쥐구멍 근처에 상주하는 것도 아는데 쥐는 왜 그 쪽으로 다닌다니?라고 묻고 싶다
시선이 가는 곳에서 90도 정도 틀어진 곳에서 모기장이 흔들리는 것이 보였다 새끼 쥐가 모기장을 뚫고 들어오는 길을 찾는 중이었다 안에서 모기약을 뿌려대는데 쥐는 모기장 틈으로 들어왔다 그 방은 방 벽과 천장까지 청소한 방이어서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는데, 그 날 방에 잠깐 음식물을 두어서 냄새는 남아있었다 방에 짐이 꽉 차서 잡을 방법이 없었다 모기장 밖 마루에 쥐약을 조금 놓아두었더니 다시 모기장을 뚫고 마루로 올라서더니 쥐약 몇 알을 먹어보고 사라졌다 음식물 냄새를 없애기 위해 쓰레기 같은 것도 바로 치워야 한다
벽이 개방되어 고양이들이 다닐 수 있는 곳에서도 어디에나 쥐똥은 있다
1. 끈끈이 - 작은 것이 비싸고 큰 것은 싸다 큰 것은 뱀을 말아 잡을 때도 쓴다
2. 쥐약 - 알약이 있고 가루약이 있다 알약은 편하지만 양을 조절할 수 없고 가루약은 불편하지만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알약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서 없어진 줄 알지만 가루약은 그 자리에서만 소비된다 작은 알갱이를 하나씩 나르는 것은 못 보았다
3. 쥐덫
등이 쓰인다
쥐는 영토 싸움이 심하다 싸움에 져서 심하게 물리면 머리뼈까지 뜯겨나간다 쥐는 다니던 길을 다니지만 그 길이 막히고 사흘 쯤 지나면 다른 길을 찾는다 쥐는 각진 곳을 기어올라간다 만약 단면이 사각형인 쇠파이프가 지붕에 걸쳐져 있다면 충분히 오를 수 있다 단면이 사각형인 나무는 더 쉽게 오를 수 있다 사람이 전봇대를 타고오르 듯한 모습으로 올라간다 점프도 잘하고 미로 개념도 있다 이 미로 개념이 또 있는 것이 뱀이다
이사를 오니 전주인이 다리가 불편했는 지 방 한 가운데와 마루 한 가운데에 철봉이 설치되어있었다 그 철봉을 꺼내고 남은 구멍에 쥐약을 넣어두었다 철봉은 문 위에 꼽혀있었다 그런데 그 구멍 바깥 쪽에 kt 광케이블이 지나가고 있었는데 쥐가 그 것을 갉아내어 끊었다 벽 안 쪽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느 길을 택해서 들어가야 하는 지를 쥐도 알고 뱀도 안다 집 근처에 나무나 지붕 높이의 담이 있으면 나무나 담을 타고 올라가 점프해서 지붕으로 올라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지붕에 길쭉한 게 기대어져 있다면 올라가기는 더 쉽다
쥐는 방 안으로 통하는 고속도로를 만들고 그 통로로 다른 벌레들이 들어올 수 있는데 귀뚜라미, 지네, 뱀..들이 그런다 그리미는 제일 많이 보는데 문 틈으로 들어올 만하게 납작하다
쥐는 비나 눈이 올 때 꼭 실내에 나타난다 쥐약을 놓아두면 그 냄새를 따라 들어온다 그러면 쥐가 들어와보니 쥐약이 있었다..가 아니라 쥐약이 쥐를 인도한 것이다 쥐는 냄새가 날 것 같지 않아도 곡식 냄새를 잘 맡는다 그런데 눈, 비가 와도 쥐가 나타나지 않을 때가 있었다 나이가 들고보니 태우는 일이 많다 그 날 음식을 심하게 태우고 탄 냄새가 주방에서 한 달 이상 빠지지 않았는데 그 동안 쥐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동안 비도 오고 눈도 왔다 누군가 목초액이 벌레를 쫓는다고 뱀도 쫓는다더니 그랬던 모양이다 고양이는 많아도 쥐잡이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쥐약을 팔면서 약사가 말한다 이 쥐약은 쥐 눈이 멀게되어 밖으로 나가서 죽는다고 다 그러지는 않는다 천장 작은 구멍으로 구더기가 계속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쥐약은 멀리 놓는 것도 좋다 실내에 접근하기 어렵게 하려는 것인데 귀뚜라미가 먹어치우는 일이 많다 천장에는 계란판을 채워두었다 천장에 쥐구멍이 있고 쥐똥이 많아도 뭔가가 남아있는 것은 못 보았다 적어도 쥐 발자국 소리는 듣지 않으려고 계란판을 올려둔다
쥐가 제일 접근하기 쉬운 통로는 구들 굴뚝 자리다 도저히 들어올 수 없을 것 같은 사방, 바닥이 모두 콘크리트라고 해도 쥐는 들어왔다 쥐약만 먹고 사라질 수 있다 바닥과 벽에 구멍이 없으면 슬레이트 지붕 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연결 다리가 없다면 지붕 근처에 감나무 같은 게 있는 지 확인 해보아야 한다 천장 통나무 옆으로 방 조명이 새어올라가면 구멍이 뚫리는 수가 있다 가끔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 쥐가 떨어져서 방에 돌아다니기도 한다 창문에 길을 만들고 창문을 살짝 열어두면 길을 찾아 금방 창문 밖으로 나간다 전선 같은 것도 잘 타고 오른다 싱크대 밑 모서리에 찐득이를 놓아두면 잡히기도 한다
벽이 이미 뚫려있다면 이중 벽을 세울 수도 있다 쥐는 손가락 한 마디 길이 정도 아래로 땅을 파나갈 수 있다 쥐구멍이 있어 쥐가 다닌다고 거기에 뭘 부어봐야 잡아낼 수 없다 ㄴ자 모양으로 수 m 씩 긴 길을 파나갈 수 있다 쥐는 전선 같은 것을 잘 갉아낸다 말려있는 전선을 한 줄로 갉아내면 전선 전체를 쓸 수 없게된다 천장은 여름에는 덥지만 겨울에는 따뜻한 곳이다 자동 난방이 되는 곳이니 쥐에게는 좋은 환경인 것이다 눈, 비만 오면 쥐는 계속 들어오니 생산량이 얼마나 많은 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들고양이는 항상 있지만, 쥐가 없을 때도 없다 명태국을 끓이는 중에 고양이 어미가 새끼까지 데리고 야옹거린다 쥐구멍 근처에 상주하는 것도 아는데 쥐는 왜 그 쪽으로 다닌다니?라고 묻고 싶다
시선이 가는 곳에서 90도 정도 틀어진 곳에서 모기장이 흔들리는 것이 보였다 새끼 쥐가 모기장을 뚫고 들어오는 길을 찾는 중이었다 안에서 모기약을 뿌려대는데 쥐는 모기장 틈으로 들어왔다 그 방은 방 벽과 천장까지 청소한 방이어서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는데, 그 날 방에 잠깐 음식물을 두어서 냄새는 남아있었다 방에 짐이 꽉 차서 잡을 방법이 없었다 모기장 밖 마루에 쥐약을 조금 놓아두었더니 다시 모기장을 뚫고 마루로 올라서더니 쥐약 몇 알을 먹어보고 사라졌다 음식물 냄새를 없애기 위해 쓰레기 같은 것도 바로 치워야 한다
벽이 개방되어 고양이들이 다닐 수 있는 곳에서도 어디에나 쥐똥은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