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물 넘침
날이 추워지기 시작하면서 보일러 물이 넘치기 시작한다 그 쪽으로 늘 신경을 쓰고 있다가 물 떨어지는 소리가 나면 달려가서 조치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XL 안에 공기가 많이 차서 그런 줄 알았는데, 공기가 팽창하고 이 공기가 물을 밀어올려서 물이 넘치는 것을 알게되었다 용기 안의 물의 양과 팽창탱크 용량을 따져봐야 한다
물이 과열되어 끓어넘칠 때
대개 온도 스위치가 있지만 고장났다면 구입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엄지 손톱 만한 게 7,000 원 쯤 하는데 택배 비용만 15,000원 쯤 하고 미국에서 온다면 약 한 달은 기다려야 한단다 그런데 하나에 1,000 원 쯤 하는 온도 스위치를 발견했는데 온도 범위도 다양하고 해서 여럿 구입했는데 전류량을 알 수가 없고 제품도 오래 되고 상호가 다 다르다 그래서 이 것을 마그넷 스위치와 연결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예를 들면, 섭씨 95도가 넘으면 전원 차단하는 게 있고 95도 이하일 때 전원 차단 하는 것도 있다 수온 온도 스위치는 전선 연결 단자가 켜는 곳, 끄는 곳, 공통선으로 세 곳이고, 이 온도 스위치는 단자가 둘 뿐이므로 온도나 온도 위에서 끄는 지 온도 위에서 켜는 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밀폐 용기일 때
밀폐 용기라면 가열된 공기가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한다 물이 끓지 않아도 계속 물이 거꾸로 밀려나면서 물은 팽창탱그에서 넘치게 된다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곳을 서로 바꿀 수 없다면 역류 방지를 위해 체크 밸브를 연결하여 물이 거꾸로 흐르지 않게 해줘야 한다 물이 밀폐 용기 안에서 가열되었을 때 용기에서 가까운 배관을 만져보고 어디가 차고 어디가 뜨거운 지를 확인하면 이해가 된다 물이 뜨거운 쪽으로 역류하게 되어있다 체크 밸브는 출입문과 같이 되어있어 한 쪽에서 밀면 닫히고 다른 쪽에서 밀면 열리게 된다 제품면에 물 흐르는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온도 스위치
온도 스위치는 보통 수온 센서를 사용한다 물이 섭씨 30 도 밑으로 내려가면 순환 펌프를 돌리고 30도를 넘어서면 순환 펌프를 멈추게 하는 것처럼 하는 방식인데, 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밀폐 용기와 가장 가까운 곳의 역류되는 곳에 이 수온 온도 스위치를 배치하고 그 곳이 섭씨 65도를 넘어서면 순환 펌프를 가동시키든 지 하는 방법이다 일정 온도 이상으로 난방수가 가열되면 순환펌프를 돌게 하는 것은, 타이머의 3분 가동, 9분 정지 방법보다 효과적인데, 역류하는 곳에 배치하므로 경유보일러의 순환펌프의 위치와 다르다
타이머
추울 때 보일러실이 너무 추워서 물이 얼 것 같으면 이 온도 스위치가 제역할을 못 한다 하루 종일 순환 펌프가 돌아가고 그러면 물은 노출된 곳에서 계속 식게 되므로 난방을 하나마나 하게 된다 순환 펌프를 3분 가동하고 9분 정지하게 하면 좋은데, 초단위 설정이 가능한 타이머가 있기는 한데 가격도 25,000 원이나 하면서 고장은 30분, 세 시간 안에 난다 네 개를 샀는데 모두 불량이다 탭 방식으로 된 것은 15분 간격으로 켜고 끄게 되어있어 난방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타이머는 마그넷 스위치와 연결해도 이 기능에 사용하지 못 한다 다른 회사의 타이머를 구입했는데 이 제품은 이동전화기로만 설정이 가능하고 3분 가동, 9분 정지 같은 설정을 할 수 없게 되어있어 네 개 모두 반품했다
개방 용기
용기가 밀폐된 것이 아니라면 물이 역류할 수는 없다 이 때는 단열이 잘 되어야 한다 선풍기처럼 만들어진 실내 히터는 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 갓이 있다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 같다 XL 파이프 단열재 겉면에도 은박지가 있어 열을 반사시킨다 용기를 은박지로 감싸고 스티로폼으로 외장을 하고 그 위에 랩으로 감싸면 될 것 같다 이 용기를 땅 속 깊이에 두면 열 손실이 덜할 것 같다 큰 플라스틱 용기로 대체할 수 있는데 과열 센서를 반드시 부착해줘야 한다 가끔 다른 일로 수도 계량기를 잠그고 이 보일러 용기를 잊고 있으면 사고 날 수 있다
수온 온도 스위치의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난방에 유리하지만 용기 내부의 가열된 공기 때문에 역류할 수 있고, 너무 높게 하면 순환 펌프가 멈추지 않고 계속 돌게 되어 물이 노출된 곳에서 식게 된다 난방수가 역류할 때 쯤에 순환 펌프를 가동하게 하려면 역류하는 그 곳에 수온 온도 스위치를 옮겨 달아야 하고 그러지 않으려면 체크 밸브를 달아주어 역류를 막아야 한다 보일러실에 찬바람이 많이 들어오면 수온 온도 스위치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꿔주어야 한다 일년 내내 같은 온도 설정으로 난방을 유지할 수 없다
기타
순환 펌프 안에는 항상 물이 들어있어야 한다
지하수를 난방용수로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물을 바꾸어주어야 한다 흙이 너무 많이 쌓인다
가열되는 곳에는 항상 물이 차있어야 하고 온도 스위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온도 스위치에는 자동 복귀 방식과 수동 복귀 방식이 있는데 자동 복귀 방식은 고장 원인이 제거되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스위치 접점이 탈 수 있다 온도 스위치는 고장을 염려한다면 직렬로 두 개 연결하는 것도 좋다
난방수가 들어가는 곳과 나가는 곳을 만져보고 온도가 비슷한 것 같은데 순환펌프가 계속 돌아가면 온도 설정이 높게 되어있는 것이므로 조금 줄이고 몇 십 분 뒤에 다시 점검한다
체크밸브는 위 한 곳이 고정되어있고 안전밸브는 밸브 가운데가 걸려있는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른다는 것은 같은 기능으로 보이는데 체크밸브는 위치와 방향에 신경써야 할 것 같다
지하수는 사용하는 곳에서는 스트레이너를 배관해서 흙을 걸러주는 게 좋겠다
광역상수도에서도 자동 에어벤트의 기능은 신뢰하기 어렵다 차라리 큰 공기 모음통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공기를 빼주는 게 효과적이다
난방 배관이 가파르게 낮아지는 방이 온도가 낮아지는 때가 있다 약 20 일 주기로 낮아지는 것 같다 보일러 쪽에서 난방수가 흐르다 낮아지는 곳에서 공기가 쌓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방 바닥 온도가 낮아질 때 쯤 순환 펌프를 가동 시켜본다 방 하나에 약 15 분 정도 순환시키고 기포가 많이 돌아다니는 지 팽창 탱크 배관을 지켜본다 기포 배출구를 만들고 싶으면 그 옆방에서 이 방으로 배관이 낮아지는 곳에서 만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방을 수평으로 할 수 없다면 기포 배출 밸브를 만들어 주어야 할 것 같다
온도 스위치로 좋은 것은 타이머다 3 분 가동한 뒤에 9 분 정지 (이 정지 시간 동안 가열기는 작동) 하게 하면 좋다 한승 제품이 초 단위까지 설정할 수 있으나 25,000 원 짜리 4 개를 구입해서 마그네틱 스위치와 연결해서 사용하였으나 30 분 만에 고장나고 두 번 째는 3 시간 만에 고장나고 하나 남았는데 쓰지도 반품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서진 제품도 4 개 구입했으나 간판용이고 이동 전화기로만 작동되는 것이어서 반품했다
온도 스위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재조정해야 한다
1. 가열기 성능
2. 밖 온도 (보일러실에 찬 바람이 들어올 경우)
3. 연결된 방의 수
가열기를 너무 고온에 설정하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밖 온도가 내려가면 수온 온도 스위치 설정값도 낮추어야 한다 가열기는 항상 가동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가열기가 과열되기 직전에 순환 펌프가 작동하면 좋다 순환 펌프도 멈추고 가열기도 멈추면 난방 온도가 낮아지고 순환 펌프가 멈추지 않고 계속 돌아가도 난방 온도가 낮아진다 보일러실에 갈 때마다 순환 펌프가 돌고 있으면 온도 스위치 설정값을 낮춰야 하고 순환 펌프와 가열기 모두 꺼져 있으면 수온 온도 스위치 설정 온도를 높여야 한다 순환 펌프가 계속 돌아가는데 가열기로 들어가는 물의 온도와 나가는 물의 온도가 비슷하면, 이제부터는 난방수가 찬 공기에 노출된 파이프 때문에 난방수의 온도만 내려가게 되므로 순환 펌프가 돌아가면 안 된다
화목 보일러인 경우, 불이 강할 때 화력을 난방수 가열부에 닿지 않게 우회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반반
보통 주방은 밸브를 반만 연다 방 하나를 추가하면서 완전히 열면 모든 방이 온도가 내려가면서 순환 펌프만 계속 가동되고 온도는 오르지 못한다 또 방 하나의 밸브를 완전히 잠궜더니 이제는 다른 방의 온도가 크게 올라간다 그래서 이번엔 완전히 닫았던 주방도 반만 열고 추가한 방도 반만 열면 완전히 닫거나 완전히 여는 것보다 나을 것 같다
순환 펌프가 돌기 시작하다 멈출 때까지의 시간이 물이 돌아오는 시간이다 이 시간을 알고 있으면 타이머 사용할 때, 펌프 가동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XL 안에 공기가 많이 차서 그런 줄 알았는데, 공기가 팽창하고 이 공기가 물을 밀어올려서 물이 넘치는 것을 알게되었다 용기 안의 물의 양과 팽창탱크 용량을 따져봐야 한다
물이 과열되어 끓어넘칠 때
대개 온도 스위치가 있지만 고장났다면 구입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엄지 손톱 만한 게 7,000 원 쯤 하는데 택배 비용만 15,000원 쯤 하고 미국에서 온다면 약 한 달은 기다려야 한단다 그런데 하나에 1,000 원 쯤 하는 온도 스위치를 발견했는데 온도 범위도 다양하고 해서 여럿 구입했는데 전류량을 알 수가 없고 제품도 오래 되고 상호가 다 다르다 그래서 이 것을 마그넷 스위치와 연결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예를 들면, 섭씨 95도가 넘으면 전원 차단하는 게 있고 95도 이하일 때 전원 차단 하는 것도 있다 수온 온도 스위치는 전선 연결 단자가 켜는 곳, 끄는 곳, 공통선으로 세 곳이고, 이 온도 스위치는 단자가 둘 뿐이므로 온도나 온도 위에서 끄는 지 온도 위에서 켜는 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밀폐 용기일 때
밀폐 용기라면 가열된 공기가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한다 물이 끓지 않아도 계속 물이 거꾸로 밀려나면서 물은 팽창탱그에서 넘치게 된다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곳을 서로 바꿀 수 없다면 역류 방지를 위해 체크 밸브를 연결하여 물이 거꾸로 흐르지 않게 해줘야 한다 물이 밀폐 용기 안에서 가열되었을 때 용기에서 가까운 배관을 만져보고 어디가 차고 어디가 뜨거운 지를 확인하면 이해가 된다 물이 뜨거운 쪽으로 역류하게 되어있다 체크 밸브는 출입문과 같이 되어있어 한 쪽에서 밀면 닫히고 다른 쪽에서 밀면 열리게 된다 제품면에 물 흐르는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온도 스위치
온도 스위치는 보통 수온 센서를 사용한다 물이 섭씨 30 도 밑으로 내려가면 순환 펌프를 돌리고 30도를 넘어서면 순환 펌프를 멈추게 하는 것처럼 하는 방식인데, 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밀폐 용기와 가장 가까운 곳의 역류되는 곳에 이 수온 온도 스위치를 배치하고 그 곳이 섭씨 65도를 넘어서면 순환 펌프를 가동시키든 지 하는 방법이다 일정 온도 이상으로 난방수가 가열되면 순환펌프를 돌게 하는 것은, 타이머의 3분 가동, 9분 정지 방법보다 효과적인데, 역류하는 곳에 배치하므로 경유보일러의 순환펌프의 위치와 다르다
타이머
추울 때 보일러실이 너무 추워서 물이 얼 것 같으면 이 온도 스위치가 제역할을 못 한다 하루 종일 순환 펌프가 돌아가고 그러면 물은 노출된 곳에서 계속 식게 되므로 난방을 하나마나 하게 된다 순환 펌프를 3분 가동하고 9분 정지하게 하면 좋은데, 초단위 설정이 가능한 타이머가 있기는 한데 가격도 25,000 원이나 하면서 고장은 30분, 세 시간 안에 난다 네 개를 샀는데 모두 불량이다 탭 방식으로 된 것은 15분 간격으로 켜고 끄게 되어있어 난방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타이머는 마그넷 스위치와 연결해도 이 기능에 사용하지 못 한다 다른 회사의 타이머를 구입했는데 이 제품은 이동전화기로만 설정이 가능하고 3분 가동, 9분 정지 같은 설정을 할 수 없게 되어있어 네 개 모두 반품했다
개방 용기
용기가 밀폐된 것이 아니라면 물이 역류할 수는 없다 이 때는 단열이 잘 되어야 한다 선풍기처럼 만들어진 실내 히터는 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 갓이 있다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 같다 XL 파이프 단열재 겉면에도 은박지가 있어 열을 반사시킨다 용기를 은박지로 감싸고 스티로폼으로 외장을 하고 그 위에 랩으로 감싸면 될 것 같다 이 용기를 땅 속 깊이에 두면 열 손실이 덜할 것 같다 큰 플라스틱 용기로 대체할 수 있는데 과열 센서를 반드시 부착해줘야 한다 가끔 다른 일로 수도 계량기를 잠그고 이 보일러 용기를 잊고 있으면 사고 날 수 있다
수온 온도 스위치의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난방에 유리하지만 용기 내부의 가열된 공기 때문에 역류할 수 있고, 너무 높게 하면 순환 펌프가 멈추지 않고 계속 돌게 되어 물이 노출된 곳에서 식게 된다 난방수가 역류할 때 쯤에 순환 펌프를 가동하게 하려면 역류하는 그 곳에 수온 온도 스위치를 옮겨 달아야 하고 그러지 않으려면 체크 밸브를 달아주어 역류를 막아야 한다 보일러실에 찬바람이 많이 들어오면 수온 온도 스위치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바꿔주어야 한다 일년 내내 같은 온도 설정으로 난방을 유지할 수 없다
기타
순환 펌프 안에는 항상 물이 들어있어야 한다
지하수를 난방용수로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물을 바꾸어주어야 한다 흙이 너무 많이 쌓인다
가열되는 곳에는 항상 물이 차있어야 하고 온도 스위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온도 스위치에는 자동 복귀 방식과 수동 복귀 방식이 있는데 자동 복귀 방식은 고장 원인이 제거되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스위치 접점이 탈 수 있다 온도 스위치는 고장을 염려한다면 직렬로 두 개 연결하는 것도 좋다
난방수가 들어가는 곳과 나가는 곳을 만져보고 온도가 비슷한 것 같은데 순환펌프가 계속 돌아가면 온도 설정이 높게 되어있는 것이므로 조금 줄이고 몇 십 분 뒤에 다시 점검한다
체크밸브는 위 한 곳이 고정되어있고 안전밸브는 밸브 가운데가 걸려있는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른다는 것은 같은 기능으로 보이는데 체크밸브는 위치와 방향에 신경써야 할 것 같다
지하수는 사용하는 곳에서는 스트레이너를 배관해서 흙을 걸러주는 게 좋겠다
광역상수도에서도 자동 에어벤트의 기능은 신뢰하기 어렵다 차라리 큰 공기 모음통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공기를 빼주는 게 효과적이다
난방 배관이 가파르게 낮아지는 방이 온도가 낮아지는 때가 있다 약 20 일 주기로 낮아지는 것 같다 보일러 쪽에서 난방수가 흐르다 낮아지는 곳에서 공기가 쌓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방 바닥 온도가 낮아질 때 쯤 순환 펌프를 가동 시켜본다 방 하나에 약 15 분 정도 순환시키고 기포가 많이 돌아다니는 지 팽창 탱크 배관을 지켜본다 기포 배출구를 만들고 싶으면 그 옆방에서 이 방으로 배관이 낮아지는 곳에서 만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방을 수평으로 할 수 없다면 기포 배출 밸브를 만들어 주어야 할 것 같다
온도 스위치로 좋은 것은 타이머다 3 분 가동한 뒤에 9 분 정지 (이 정지 시간 동안 가열기는 작동) 하게 하면 좋다 한승 제품이 초 단위까지 설정할 수 있으나 25,000 원 짜리 4 개를 구입해서 마그네틱 스위치와 연결해서 사용하였으나 30 분 만에 고장나고 두 번 째는 3 시간 만에 고장나고 하나 남았는데 쓰지도 반품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서진 제품도 4 개 구입했으나 간판용이고 이동 전화기로만 작동되는 것이어서 반품했다
온도 스위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재조정해야 한다
1. 가열기 성능
2. 밖 온도 (보일러실에 찬 바람이 들어올 경우)
3. 연결된 방의 수
가열기를 너무 고온에 설정하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밖 온도가 내려가면 수온 온도 스위치 설정값도 낮추어야 한다 가열기는 항상 가동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가열기가 과열되기 직전에 순환 펌프가 작동하면 좋다 순환 펌프도 멈추고 가열기도 멈추면 난방 온도가 낮아지고 순환 펌프가 멈추지 않고 계속 돌아가도 난방 온도가 낮아진다 보일러실에 갈 때마다 순환 펌프가 돌고 있으면 온도 스위치 설정값을 낮춰야 하고 순환 펌프와 가열기 모두 꺼져 있으면 수온 온도 스위치 설정 온도를 높여야 한다 순환 펌프가 계속 돌아가는데 가열기로 들어가는 물의 온도와 나가는 물의 온도가 비슷하면, 이제부터는 난방수가 찬 공기에 노출된 파이프 때문에 난방수의 온도만 내려가게 되므로 순환 펌프가 돌아가면 안 된다
화목 보일러인 경우, 불이 강할 때 화력을 난방수 가열부에 닿지 않게 우회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반반
보통 주방은 밸브를 반만 연다 방 하나를 추가하면서 완전히 열면 모든 방이 온도가 내려가면서 순환 펌프만 계속 가동되고 온도는 오르지 못한다 또 방 하나의 밸브를 완전히 잠궜더니 이제는 다른 방의 온도가 크게 올라간다 그래서 이번엔 완전히 닫았던 주방도 반만 열고 추가한 방도 반만 열면 완전히 닫거나 완전히 여는 것보다 나을 것 같다
순환 펌프가 돌기 시작하다 멈출 때까지의 시간이 물이 돌아오는 시간이다 이 시간을 알고 있으면 타이머 사용할 때, 펌프 가동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